국민신당 왜 불참했나…"금융위기 정부책임" 부각 겨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7인회동 불참을 결정한 21일 국민신당 고위당직자회의는 상당히 격앙된 분위기였다.

"이 난국에 형식적으로 만나 밥먹고 사진찍는게 대체 무슨 소용이냐" 는 '무용 (無用) 론' 이 주조였다.

신당은 "불참함으로써 대통령과 정부의 안이한 상황인식을 바로잡아야 한다" 는 결론을 내렸다.

이만섭 (李萬燮) 총재는 회의직후 회견을 갖고 그동안 당이 제시해온 대책들이 묵살돼온데 대한 불만부터 표시했다.

그는 "우리는 강경식 (姜慶植) 경제팀 경질.금융개혁법안 처리.경제위기대처기구 설치등을 수차례 제의했다" 며 "외환위기와 관련한 국제통화기금 (IMF) 지원요청과 기업구조조정특별법 제정등도 정부가 못들은체 방관해 위기를 키웠다" 고 성토했다.

그는 총체적 위기상황의 책임이 전적으로 정부와 여당에 있음을 선전하자는 의도였다.

그런데도 회동에 응하면 '죄도 없이' 비난대상에 포함될 뿐이라는 것. 청와대, 그리고 경쟁후보측과의 차별화 목적도 크다.

李총재등은 "이회창후보는 'DJ비자금' 폭로로 실명제를 무용지물로 만들어 금융위기를 가속화시킨 장본인" "김대중후보도 대권욕에 급급해 정부에 따끔한 충고를 꺼렸다" 는 등으로 싸잡아 비난했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