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신도시 480만평→150만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수도권 2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었던 김포신도시의 개발 면적이 당초보다 70%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중장기 주택공급 계획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건설교통부는 28일 김포신도시 개발 면적을 당초 480만평에서 150만평으로 축소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서종대 건교부 신도시기획단장은 "김포신도시 예정지 일대의 군사시설보호구역을 관장하는 국방부가 최근 안보상황의 급격한 변화를 이유로 신도시 개발 면적을 150만평 규모로 축소해 달라고 요구해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군 재배치 등으로 이 지역의 군사시설 및 부지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는 바람에 신도시 부지가 줄어든 것이다.

신도시 면적이 당초 계획보다 330만평이나 축소됨에 따라 김포신도시에 지으려던 주택 가구 수도 7만가구에서 2만5000가구로 크게 줄어든다. 김포신도시의 수용 인구도 21만명에서 7만5000명으로 줄어 서울 인구의 분산 효과도 떨어지게 됐다. 아파트 분양시점도 당초 2006년 9월에서 2007년 이후로 늦춰졌다.

신도시 면적의 축소로 김포시 양촌면과 서울 강서구 외발산을 연결할 예정이던 21㎞의 도시고속화도로 건설계획은 사실상 백지화됐다.

김포신도시의 개발 면적이 급감하게 되자 건교부는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서 단장은 "앞으로 남북 화해와 남북 협력사업의 진전, 군 작전개념의 변화 상황을 지켜봐가며 확대 개발을 다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축소된 면적 만큼 대체 신도시 부지를 연내에 물색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건교부는 김포신도시 규모 축소에 따른 개발이익 감소로 인프라 건설비용이 부족할 것으로 보고 인근의 양곡.마송지구 등에 일부 비용을 분담토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건교부는 농림부.환경부.김포시 등과의 의견 조율을 거쳐 7월 중 김포신도시 예정지를 택지개발지구로 공식 지정할 계획이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