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민주당 통합 협상…당헌·당명 개정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신한국당과 민주당의 '합당협상 실무팀' 이 가동되는 기간은 얼마되지 않는다.

12일 민주당 당무회의에서 합당안이 통과되고 바로 협상팀이 구성된다 해도 24일께로 예정된 통합전당대회까지는 불과 열흘 안팎이다.

그러나 협상팀에서 논의될 사항은 매우 많다.

먼저 가장 중요한 문제가 지분문제다.

민주당은 현재 현역포함, 지구당위원장중 30%의 지분을 요구하고 있다.

조순 (趙淳) 총재도 11일 기자간담회에서 "최대한 많이 챙기도록 노력하겠다" 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민주당은 전체 2백53개 지구당중 76개를 얻게 된다.

현역 지역구의원 5명을 제외하면 현재 1백50여명의 원외지구당 위원장중 절반 가까이가 구제되는 셈이다.

이 경우 신한국당의 경우 1백32명의 현역지구당의원 지역을 제외하고 45개 지구당의 원외지구당 위원장만이 자기 몫을 차지하게 된다.

신한국당은 이 안 (案)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신한국당은 대선때까지는 가급적 공동선대위체제의 운영을 주장하고 있다.

절충안으로 현역의원에 대한 우선권을 존중하고 나머지 지구당위원장에 대해 5대5로 나누자는 안도 나오고 있다.

당명 개정문제도 협상팀이 결정할 중요한 문제다.

양당은 현재 '21세기' '신진' 등의 표현이 들어가는 당명을 구상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趙총재도 최근 "기존 정당처럼 '…당' 으로 끝나거나 '한국' '민주' 가 들어가지 않는 당명도 바람직하다" 고 피력한바 있다.

후보와 총재를 선출하는 통합전당대회 개최준비도 수월치 않다.

민주당의 경우 12일 당무회의 의결로 합당이 인준되지만 신한국당의 경우 별도의 전당대회에서 이를 승인해야 한다.

때문에 김태호 (金泰鎬) 신한국당사무총장은 "하루에 모든 절차를 끝낼 생각" 이라며 "이를 위해 신한국당 전당대회가 끝나자 마자 같은 장소에서 통합전당대회를 열거나 시차를 두고 인근지역에서 대회를 치르는 방안을 모색중" 이라고 말했다.

당헌당규와 정강정책 개정안 확정도 협상팀의 주요 과제다.

'3金정치' 와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개혁적인 경제정책을 엮어낸다는 방침이다.

또 통합당이 대통령중심제를 기본정책으로 명시하고 나설지도 관심거리다.

지도체제문제는 현재 양당이 모두 집단지도체제를 택한 만큼 별 문제는 없어 보인다.

다만 이한동 (李漢東) 대표체제 유지문제와 이기택 (李基澤) 전민주당총재를 어떤 식으로 예우할 것인지와 최고위원 내지는 부총재를 몇명 둘 것인가 하는 문제도 협상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