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총재·김종필총재 연합 관련 정계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DJP연합이 최종 성사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전해지자 정치권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양당을 제외한 나머지 3당은 일제히 '야합' '권력 나눠먹기' '3金정치의 연장' 등이란 용어를 동원해 비난했다.

국민회의 내부에선 정대철 (鄭大哲) 부총재등이 "이런 합의를 해주는 정당은 정당도 아니다" 며 DJP연합에 시비를 걸고 있으나 아주 소수다.

각당의 공격 초점은 이질세력인 DJP연합이 명분을 가질 수 없다는데 맞춰졌다.

주류와 비주류간 갈등으로 어수선한 신한국당이지만 DJP연합에 대해선 한목소리로 비난을 토해냈다.

이사철 (李思哲) 대변인은 "헌법을 파괴하는 반민주적이고 반국민정서적 나눠먹기 야합" 이라고 매도했다.

신한국당은 또 "연말 대선은 2년반짜리 대통령과 자민련 총리를 동시에 뽑는 선거가 아니다" 며 "실로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발상" 이라고 공박했다.

비주류측도 뒤지지 않았다.

민주계 한 중진 의원은 "DJ는 정체성을 잃은 것이고, JP는 권력에 빌붙자는 것" 이라고 폄하했다.

다만 비주류의 경우 "DJP연합의 현실적인 파괴력을 감안해 하루속히 반 (反) DJP연대를 결성해야 한다" 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와함께 신한국당 주류와 비주류는 모두 자민련 내부의 반DJ성향 의원들을 상대로 한 포섭작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민주당은 '지역맹주간의 야합' 이라고 비난했다.

조상훈 (趙相勳) 부대변인은 " '대선후보 김대중, 총리내정자 김종필' 은 국민을 우롱하는 행위" 라며 "낡고 부패한 두 金총재가 구정치세력의 정권 연장책을 펴고 있다" 고 꼬집었다.

특히 "정당의 존립 목표는 정권창출인데 대선 후보도 내지 않는 정당은 즉각 사라져야 한다" 며 자민련을 공박했다.

국민신당 (가칭) 황소웅 (黃昭雄) 대변인은 "헌정질서를 자기들 마음대로 파괴하며 권력을 잡아보겠다는 부도덕한 상거래" 라고 성토했다.

黃대변인은 "국민 의사도 물어보지 않은 공동정부 구성은 야합정치의 표본" 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신당은 DJP연합에 맞설 수 있는 사람은 이인제후보뿐임을 강조하면서 반DJP연대의 구심점을 자임하고 나설 태세다.

국민신당은 DJP연합이 공표되는 즉시 충청권에 대한 공략도 본격화할 참이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