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나라 천막 당사 5주년 … 천막 뒤에 숨은 막전막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5년 전인 2004년 3월 24일 한나라당은 ‘한나라당’이란 간판을 뗐다. 허허벌판에 천막을 쳤다. 이른바 천막당사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 노무현 대통령을 탄핵시킨 후폭풍이 너무나 거셌다. ‘차떼기당’이란 오명이 너무나 두터웠다. 그해 4·15 총선에서 50석도 못 건질 것이란 예상이 일반적이었다. 막상 투표함을 여니 121석이었다. 한나라당은 84일 만에 천막을 걷었다. 그 사이 나락에서 희망을 발견했다.

5년 전인 2004년 3월 한나라당 소장파들이 당사를 박차고 나와 한강 둔치에 천막을 쳤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에 ‘차떼기당’ 오명을 벗기 위해서였다. 이게 단초가 돼 한나라당은 중소기업전시장 부지의 공터에 천막 당사를 치고 총선을 치렀다. 사진은 불을 밝힌 채 토론을 벌이고 있는 소장파들. [중앙포토]


천막 당사 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있다. 바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다. 그는 2004년 3월 23일 당 대표로 선출됐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의결에 대한 역풍이 극에 달했을 때였고, 17대 총선(4월 15일)을 불과 22일 남겨둔 시점이었다. 그는 기존 당사엔 단 한 발짝도 들여놓지 않았다. “당이 부패 정당, 기득권 정당이란 오명에서 완전히 새롭게 출발한다”는 의미였다. 그는 취임 직후 “다른 건물을 전세 얻는 게 마땅치 않다면 천막이라도 치라고 얘기해 놨다”고 말했다. 그리고 다음 날 중소기업종합전시장이 있던 여의도의 공터에 천막 당사가 마련됐고, 박 전 대표는 그곳으로 향했다.

“마지막 기회를 달라”는 그의 호소는 빈사의 위기에 있던 한나라당을 살려냈다. 이후 재·보선에서의 연승 기록은 그에게 ‘선거의 여인’이란 닉네임을 안겼다. 이런 활약상 때문에 ‘천막 당사=박근혜’로 연결짓곤 했다.

천막 당사 얘기 이면엔 그러나 드러나지 않은 조역들도 있다.

아이디어는 소장파들로부터 나왔다. 칼바람이 불던 한강 둔치에 천막을 쳤다. 정두언·권영진·정태근 등 당시 원외위원장들이 주도했고, 남경필·권영세·정병국 의원이 힘을 보탰다.

천막 당사로 발전시킨 이는 이상득 당시 사무총장이다. 최병렬 대표까지 물러난 상황이어서 사실상 그는 당 지도부 중 유일하게 ‘일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소장파의 천막을 찾을 때만 해도 천막 당사에 비판적이었다. 그는 후일 “국민에게 그저 잘 보이려고 뭘 해선 안 된다는 생각으로 갔는데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설득이 가슴에 와닿더라”고 토로했다. 이 총장은 정작 천막 당사 시절을 오래 함께하지 않았다. 박근혜 체제가 출범한 뒤 나흘 만에 물러났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이 총장을 김형오 의원과 함께 공동선대본부장으로 인선한 직후다. 이 총장은 “지역구 선거에 매진하겠다”고 말했었다. 하지만 주변에선 “선대본부장은 보통 총장 혼자 맡는 게 일반적인데 이 총장과 상의 없이 한 명 더 인선하는 걸 보고 이 총장에게 ‘물러나라’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여겼다”고 전했다. 부지를 제공한 건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이었다. 그는 이 총장의 SOS를 받고 서울시 소유 부지인 500평을 제공키로 했다. 당시 여당에선 “우리가 가건물을 짓겠다고 했을 때 불법이라고 하더니 관권 선거를 하느냐”고 공격했다.

대선 후보 경선이 한창일 무렵엔 천막 당사 행사를 두고 신경전이 벌어졌다. 2007년 3월 천막 당사 3주년 기념행사가 예정됐을 때였다. 이명박-박근혜 후보 진영 간 갈등이 극심해질 무렵이었다. 이명박 당시 후보 진영에선 돌연한 행사라고 여겼다. “박 전 대표를 위한 게 아니냐”는 것이었다. 이 후보는 막상 행사장에서 “천막 정신은 정당사에 없었던 자랑스러운 일”이라며 “천막 정신을 주도했던 박 전 대표에게 박수 한번 치자”고 말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