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연세대 논술 우수답안-반대의견 우수 답안·평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유행 반대>

인간의 역사는 노동을 통해 재화와 용역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면서 발전했다.

오늘날 우리는 과학기술에 힘입어 생산량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에 따라 상품은 소비자에게 팔리기위해 심리적인 외형을 갖게 되었고, 이는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이렇게 형성된 유행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수요의 창출, 소비자에게는 심리적 만족감을 가져왔다.

그러나 유행은 위와 같은 긍정적 효과만을 가져오지 않았다.

유행은 경제.사회.문화등의 다방면에 긍정적 영향보다 더 많은 약영향을 가져왔다.

따라서 유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재고가 필요한 실정이다.

유행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측면으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먼저, 경제적 측면에서 유행은 가치관이 반영되지 않은 수요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유행은 필요 이상의 과다한 수요를 창출하게 되고, 이것은 다시 사치와 과소비를 야기시킨다.

또한 유행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상품을 만드는 엄청난 비용과 유행이 지난 재고품의 처리와 같은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을 야기시킨다.

소비자의 주체적이고 경제적인 소비 의식이 형성되지 않은 사회에서 유행은 그 사회의 경제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다.

다음으로 유행이 심미적인 것을 추구함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있다.

유행은 시장경제에서 살아남기 위해, 즉 팔리기 위해 심미적인 외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상품의 교환 가치를 사용 가치보다 우선시하는 사회적 경향을 가져온다.

이런 경향은 인간의 노동 시장에 그대로 반영되어 인간이 자신을 팔기 위해 내면적 가치보다 외형적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인간의 상품화 현상을 야기시킨다.

그리고 인간의 상품화 현상은 인간 소외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이 교환 가치를 중요시하는 유행은 인간 소외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유행은 문화적 측면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요즘 X세대, 신세대라는 용어는 보편화되어 있다.

이 X세대, 신세대는 70~80년대의 물질적 풍요와 사회의 민주화 과정에서 자란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그런데 모회사 화장품 광고는 X세대, 신세대란 용어를 TV에 등장시켜 이들의 문화 행태를 가시화시켰다.

그러나 이 용어의 등장 배경이 상업화된 자본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에 용어가 지닌 본래적 의미를 상실하고, 개성을 위해 소비만을 부추기는 문화 행태를 유행시켰다.

이같은 유행은 급속도로 번져나가 우리 사회에 왜곡된 의미의 신세대 문화를 정착시켰다.

이와 같이 유행은 문화의 본질 자체를 왜곡시킬 수도 있다.

유행은 인간의 필요를 넘어서 욕망을 부추기는 형태의 문화 양상이다.

요즘 경제 성장률의 저하, 경상수지 적자, 과소비의 만연등의 사회적 병폐를 야기시킨 주원인 중 하나가 유행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개성을 위한다는 이유로,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뒤떨어진다는 이유로 유행을 따른다는 것은 근시안적인 생각이다.

참된 유행의 본질은 사회 정의를 실현시킬 수 있어야 하며 생산을 재창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평가>

논술을 쓸때 자신이나 주변세계에서의 경험과 예를 지나치게 많이 들어 글이 마치 수필처럼 되는 잘못을 많은 학생들이 범하고 있다.

수필은 개인적 경험을 이야기하며 거기에서 일반적 원리를 찾아내는 것이라면, 논술은 개인의 경험을 떠나 사물이나 사회현상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입장표명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물론 논술에서도 개인적 경험이나 주변의 예를 들 수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신의 주장이나 설명을 뒷받침하기 위한 보조 수단이어야 한다.

이 답안은 유행이 어떻게 생성되고, 사회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제용어나 학술적 개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논술에서 단순한 지식을 나열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만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원용함으로써 논제를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사물이나 사회 현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에는 단순한 관찰이나 인상보다는 독서와 학교 교과목을 통해 배운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