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원보호구역 확대로 김해시-낙동강 주변 마을 주민 마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김해 장유신도시와 진영읍, 주촌.진례.한림면등 김해 5개 지역의 수돗물 공급을 늘리기위한 광역상수도사업 (급수 계획인구 37만명) 을 둘러싸고 김해시와 낙동강 취수장 주변 마을인 생림.한림.상동면 일대 주민들과의 마찰이 심하다.

이 사업은 김해시가 2천2백억원을 들여 낙동강 수계인 생림면마사리 창암취수장의 취수규모를 지금의 하루 10만5천t에서 23만t으로 늘리기위한 것.

또 한림면명동리 정수장을 중심으로 5개 읍.면을 연결하는 수도관 40여㎞도 묻을 계획. 시는 이 사업을 이달안에 착공, 장유신도시의 입주가 시작될 무렵인 2000년 6월까지 완공할 계획. 그러자 주민들은 "지금도 취수장때문에 마을이 환경부 고시로 청정지역으로 지정돼 벼멸구가 극성을 부려도 농약을 함부로 치지 못하고 있는데 이 사업으로 인해 앞으로 마을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엎친데 덮치는 꼴이 될 게 뻔하지 않느냐" 며 "공사를 저지하겠다" 고 벼른다.

"지금도 크고 작은 생활불편을 겪고 있는데 앞으로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재산권 침해등 엄청난 규제가 예상되기때문" 이라고 덧붙인다.

주민들은 이에 따라 상수원보호구역 지정반대위원회 (위원장 정경대) 를 구성, 대책마련에 나서 집단행동으로 공사장비 투입을 막는 등 공사를 막을 계획. 아울러 주민 6천여명이 서명한 탄원서를 이미 경남도와 환경부등에 낸데 이어 지난달초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는 부산시기장군일대도 둘러 보고 그곳 주민들이 겪는 생활불편을 살펴 보기도 했다.

주민들은 "김해시의 말로는 '지금 당장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는다' 고 하지만 취수장 규모가 커지면 몇년안에 보호구역으로 지정될 것은 불보듯 뻔하다" 며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후 겪어야 할 생활불편과 재산권 침해에 대한 대책이라도 세워 주어야 할 게 아니냐" 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될 경우 장유신도시의 상수도 공급이 차질을 빚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김해시 관계자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은 환경부 소관업무이기때문에 우리로서는 알 수 없다" 며 "공사가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주민들과 협의를 계속하겠다" 고 밝혔다.

김해 = 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