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새학기 증후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학교 가기 싫어요” 새학기 증후군은 원인을 빨리 파악해 조기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포토]

새학기다. 학교 갈 준비를 하는 자녀의 얼굴을 유심히 살펴보자. 낯선 교실, 새 친구들과 적응하지 못해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지는 않을까? 새학기 증후군, 증상과 해결방법을 알아봤다.

원인을 파악해 빨리 치료해야
 전문가는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류한욱소아정신과 류한욱 원장은 “새학기 증후군을 소홀히 여겨선 안된다”면서 “대다수 아이들은 학교 가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학교 가기 싫다는 것은 아이가 생활에 흥미를 잃었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늘품아동청소년상담센터 김양민 소장은 “초등학교 시절의 스트레스가 누적돼 고등학생 때 정신분열증세로 악화된 사례도 있다”며 “원인을 최대한 빨리 파악해서 제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가벼운 질병을 장기간 진료해도 차도가 없을 경우 새학기 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류 원장은 “단순한 가려움증 같은 데 피부과에서 오랫동안 치료해도 낫지 않자 소아정신과로 온 아이가 있었다”며 “심한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상담후 증세가 호전됐다”고 덧붙였다.

 새학기 증후군을 앓는 아이의 고민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새롭게 배정된 반에서 친구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새 선생님에게 야단맞고 자신감을 잃은 경우, 공부가 하기 싫어지는 경우다.

▶ 친구가 없어요= 부모관여보다 아이 스스로 개선하도록
 전문가들은 ‘친구관계’가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문제는 부모가 섣불리 개입하면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김소장은 “어머니가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거나, 학교에 찾아가 간식을 돌리는 등의 행위는 초등1, 2학년이 지나면 통하지 않는다”며 “오히려 아이들 사이에서 ‘엄마가 감싸주는 아이’로 취급돼 따돌림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부모는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고 공감해주며, 스스로 친구관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격려하라”고 조언했다.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면 부모가 나서지 말고 아이가 직접 “이러지 마”라고 말하도록 지도하라는 얘기다. 김 소장은“자기 표현을 못하거나 위축된 아이일수록 친구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며 “지적하거나 윽박지르지 말고 자신감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선생님이 무서워요= 엄마가 아이편이라는 믿음줘야
 학기초 새 담임교사에게 지적받거나 혼나면 예민한 아이들은 크게 상처를 받는다. 아동청소년상담센터 지오 이현미 소장은 “아이들은 작은 일로 교사에게 지적받아도 크게 위축된다”며 “실제로 지적받지도 않았는데 단지 무서워 보이는 선생님께 ‘혼날 것 같아서’ 긴장하고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도 의외로 많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아이의 감정을 평가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공감하라”고 조언했다. “겨우 그런 걸로 학교 가기 싫어?” “넌 애가 왜 그러니” 식으로 비난할 경우 아이가 다시는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말하지 않게 된다. “엄마라도 힘들었겠다” 식으로 공감을 표하면 아이의 마음이 편안해진다. 이 소장은 “선생님께 보내는 편지를 아이편에 보내라”며 “엄마가 나를 도와준다는 느낌을 갖게 해 아이가 든든함을 느끼고 안심한다”고 조언했다. 편지는 아이의 현재 상태를 솔직히 알리고 배려를 부탁한다고 간단히 적는 정도면 된다.

▶ 공부가 싫어요= 수준맞춰 공부량 조절
 공부 때문에 학교에 가기 싫은 경우는 두 가지로 나뉜다. 새 교과가 어려워 따라가기 힘들거나 공부할 게 너무 많아 학습의욕을 잃은 경우다. 민재심리발달연구소 신숙재 소장은“전자의 경우 부족한 과목을 보충하고, 후자는 학습위주의 학원과 공부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 부모도 자신의 생활태도를 점검해야 한다. 무의식 중에 공부와 관련해 아이를 주눅들게 하고 있지 않은지 되돌아보아야 한다. 신 소장은 “‘숙제 다 했니?’ 등 체크식 질문 대신‘오늘 재미있었던 일 있었니?’, ‘오늘 속상했던 일 없었니?’ 식으로 대화형 질문을 하라”고 조언했다


프리미엄 이지은 기자 ichth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