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순 서울시장, 총재·시장 두살림 트집잡힐까봐 몸조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조순 서울시장은 28일 민주당 전당대회장인 63빌딩에 지하철을 타고 왔다.

그는 오전10시10분 시청에서 걸어서 시청역까지 간후 2호선을 타고 충정로역까지 와서 5호선으로 갈아타고 여의나루역까지 왔다.

거기서부터는 전세낸 미니버스를 타고 대회장으로 갔다.

대회가 끝난후 시청으로 다시 돌아갈 때도 같은 코스를 밟았다.

왜 그랬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각 당에 '이중적 (籍) 생활' 에 따른 트집의 빌미를 잡히지 않기 위해서다.

시장 관용차를 이용할 경우 "자신의 정치행위에 시장직에 주어진 프리미엄을 이용한다" 는 비난이 쏟아질 것을 우려한 것이다.

이는 지난 20일 민주당 입당식을 가진 직후 趙시장의 언론특보들에 의해 제기됐다고 한다.

당시 趙시장은 서울시 관용차를 이용했다.

趙시장을 따라온 수행차도 서울시 관용차였음은 물론이다.

일각에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새어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본격적인 문제는 이제부터다.

민주당 총재로 선출된 이상 趙시장의 '두집 살림' 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돈문제가 그렇다.

이날 전당대회 소요비용은 1억6천만원가량. 이 돈은 기존 민주당, 즉 이기택 전총재가 부담하는 형식을 취했다.

그러나 당장 28일부터는 모든 금전적 책임을 趙시장이 지게 된다.

다음달 11일 약 8억~10억원정도가 소요되는 대통령후보추대대회 행사도 趙시장 부담이다.

그런데 문제는 趙시장의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 과연 순수한 趙시장 개인 돈인지, 아니면 시장에게 주어지는 돈의 일부를 쓰는 것인지 모호하다는 것이다.

지난 21일 대선출마선언 기자회견도 마찬가지. 이때 쓴 비용은 총 1백84만5천원이다.

장소임대비와 '손님' 들에게 제공한 커피값이다.

그런데 이 돈을 기자회견장인 한국프레스센터에 지불한 사람은 서울시 공무원인 S과장. 확인결과 S과장은 직접 趙시장으로부터 현찰 2백만원을 받아 계산했고 세금계산서에도 '공급받는 자 서울시장 조순' 으로 돼 있어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趙시장이 자신이 직접 돈을 줬다고 하지만 그 돈이 '시장' 의 판공비에서 쓴 것인지, 진짜 '자기 돈' 에서 쓴 것인지 어떻게 아느냐" 며 의혹을 제기할 여지도 있다.

실제 趙시장은 한달에 3백여만원의 급여 외에 1천7백85만원의 판공비를 매월 1일 지급받고 있다.

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