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먼 “가장 유망 산업은 에너지기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이산화탄소(CO₂) 녹색성장’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했다. 에너지·환경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고, 이를 통해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것이었다.

‘글로벌 코리아 2009’의 세 번째 토론 ‘새로운 발전 전략과 녹색성장’에서는 정부의 녹색성장 비전이 세계적인 추세와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로벌 코리아 2009’ 국제학술회의가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와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주최로 열렸다. 새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열린 국제학술회의에 파스칼 라미 WTO 사무총장, 로버트 루빈 전 미 재무장관, 토머스 프리드먼 뉴욕 타임스 칼럼니스트(왼쪽부터) 등 세계 석학들이 참석했다. [강정현 기자], [연합뉴스]


미국 뉴욕 타임스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은 주제발표에서 “에너지 위기와 산유국 독재자의 등장, 기후변화,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빈곤, 생물다양성 상실 등 세계 5대 트렌드 모두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그것은 바로 깨끗하고 풍부하고 신뢰할 만한 전력을 생산하는 에너지기술(ET)”이라며 “ET는 세계적 차원에서 가장 크게 부상하는 산업이자 차세대 가장 유망한 산업”이라고 덧붙였다.

프리드먼은 “ET의 발전은 규제가 아니라 혁신으로 이룰 수 있다”며 “낡은 기술에 오염비용을 부과하면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때문에 한국이나 중국도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 『세계는 평평하다』의 저자로 유명한 그는 지난해 ‘그린 혁명’을 촉구하는 『코드 그린: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라는 책을 냈다.

이어 주제발표에 나선 국제에너지기구(IEA) 다나카 노부오 사무총장은 “새로운 에너지 정책이 없다면 203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수요가 45% 늘어날 것”이라며 “이런 추세는 경제적·사회적·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다나카 총장은 “전 세계가 경제위기를 맞았지만 지금이 바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위해 투자할 시기”라며 “청정에너지 개발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엔미래포럼의 제롬 글렌 회장은 “기후변화를 방지하고 녹색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태양에너지를 모으는 인공위성, 줄기세포를 이용한 동물 단백질의 생산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찬수 기자 , 사진=강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