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평가 내년엔 완벽하게 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라디오 연설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를 계속 실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중3 학생의 10%, 고교 1년생의 9%가 기초학력 미달이라는 결과는 충격적이었다”며 “정확한 학력 평가 자료를 가지고 있어야 맞춤형 교육정책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결과 조작 의혹에 대해서는 “처음 시행하다 보니 일부 문제가 있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며 “내년부터는 완벽한 평가 체계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교과위) 업무 보고에서 임실 지역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조작 파문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안 장관은 “시험을 치르고 발표하는 과정의 오류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교과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학업성취도 평가를 총체적 부실로 규정 짓고 안 장관을 압박했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학교 서열화를 위한 이명박 정부식 속도전이 부실을 초래했다”며 “분석 대상을 일부 학교에서 모든 학교로 급하게 바꾸는 과정에서 성적 조작에 대한 대책이 없었다”고 비난했다. 같은 당 김영진 의원도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한 시험을 폐지하고 표집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은 “일부 오류가 있었지만 제도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번 사태 때문에 학력평가 존폐 여부를 얘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교과부 책임론도 거세지고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통령에게까지 보고한 임실 지역 공교육 모범 사례가 조작됐다는 것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전국적인 감사 결과가 나오면 후속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청와대 보고에 앞서 임실 지역에 대한 검증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전교조와 참교육학부모회 등 55개 교육·시민단체는 이날 “전국 동시 평가시험을 폐지하고 서열화된 성적 공개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서울 고교 9곳에서 학교 성적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운동부 학생들의 응시를 막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정현목·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