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호·대청호 호우로 인한 쓰레기 처리 마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충북도내 충주호와 대청호가 집중호우로 떠내려온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인근 자치단체들이 수자원공사와 쓰레기 처리를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수자원공사측은 부유 쓰레기를 수면에서 제거하는 책임만 있다고 주장하는데 반해 자치단체들은 공사측이 소각등 최종처리까지 해야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연 경관 훼손은 물론 상수원 수질 오염이 우려된다.

8일 충주댐.대청댐 관리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집중호우로 떠내려온 쓰레기를 다 치우기도 전에 지난 3~4일 내린 비로 충주호.대청호에는 각각 3천4백t여과 1천여t의 부유 쓰레기가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의 3~4배에 이르는 양으로 30% 정도는 고사목.나뭇가지류이나 나머지는 대부분 낚시꾼이나 행락객들이 버린 스티로폴.플라스틱병.쓰다 버린 농약병등 수질을 악화시킬수 있는 것들이다.

댐관리사무소는 쓰레기처리 선박과 보조작업 선박등을 이용, 연일 20~30명의 인원을 투입해 처리에 나서고 있으나 워낙 양이 많아 애를 먹고 있다.

대청댐관리사무소의 경우 지난달 보은.옥천지역에서 1천t의 부유쓰레기를 수거, 마대에 담아 보은군회남면 회남대교 인근에 쌓아 두었으나 보은군은 매립장이 좁다는등의 이유를 들어 반입을 거부하고 있다.

충주시는 지난달 31일 수자원공사에 공문을 보내 매립장 포화상태를 이유로 부유쓰레기의 최종 처리 요청을 거부했으며 제천시와 단양군도 수자원공사측에 비용 부담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수자원공사측은 소각등 자체처리하려고 해도 대청호에는 소각장이 없고 충주호에는 있어도 처리능력이 시간당 95t에 불과해 원활한 처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따라 부유쓰레기 처리문제는 계속 표류, 중.남부지역 상수원 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 청주 = 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