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대법원 등 안가면 행정수도 공동화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앞으로 신행정수도 후보지에 대한 의견은 받겠지만 국민투표 여부 등 원론적인 문제에 대한 의견은 더 이상 받지 않겠다."

김안제(67)신행정수도 건설추진위원장은 14일 본지와 단독으로 만나 "15일 신행정수도 후보 지역을 발표한 뒤 서울을 포함해 전국 7~9개 대도시를 돌며 후보지에 대한 의견수렴은 하겠지만 이전 자체에 대한 의견수렴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노무현 대통령도'확신에 차서 이전을 반대하는 분들은 어쩔 수 없더라도 회의론을 펴거나 무관심한 다수 국민을 설득하고 동참시켜 법이 정한 일정대로 차질없이 추진하라고 당부했다"고 전하면서 "대통령은 국민투표는 시기적으로 늦었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계속되는 '천도(遷都) 논란'에 대해 "국회(입법부)와 대법원(사법부)의 이전 여부는 국회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국회가 이전 불가를 결정할 경우 충청권은 '순수한 행정수도'로, 서울은 '입법.사법.경제수도'로 반쪽씩 갈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외국의 수도 이전 사례를 보면 조기에 정착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우리도 예상보다 차질을 빚을까 걱정된다"면서 특히 "서울과 수도권 집중 현상의 관성이 너무 강해 충청권의 새 수도가 오히려 공동화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 위원장은 천문학적인 이전 비용에 대해 "청와대.국회.대법원 등은 역사성과 상징성이 크다는 이유로 매각보다 보존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며 "이전 후 매각을 전제로 이전 비용을 산출했기 때문에 매각을 못할 경우 정부 예산 부담이 그만큼 늘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이전 후보지와 관련, "높은 산과 경부고속도로 등 자연과 인공적 제약이 없으면서 충남.북의 경계를 아우르는 절묘한 곳을 찾고 있다"며 "배산임수 등 전통적인 풍수사상도 입지 선정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행정수도 추진위원회는 전문가들이 기초조사를 통해 제시한 9개 지역 중 4곳의 후보지를 15일 오후에 발표할 예정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충북 청원군 오송 일대^충남 연기군, 공주시 장기면 일대^충남 아산시 인근^충북 충주시 인근 등을 유력한 후보지로 꼽고 있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