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관 고장 피해 크다 …서울서만 보수비 2兆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국내 생활하수의 처리시설은 상당수준 갖췄으나 실제 처리되는 비율은 크게 낮아 개선이 시급하다.

앞으로 하수처리장 건설도 중요하지만 깨지거나 막혀 생활하수를 하수처리장까지 못가게 하는 낡은 하수관의 보수등 작업이 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생활하수 발생량 대비 시설용량은 71.7% (96년말기준) .전국에서 하루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1천5백97만7천이며 이를 처리하는 시설용량은 하루 1천1백45만2천으로, 하수처리 역사가 오래된 프랑스의 하수발생량 대비 처리율이 62%인 점에 비춰 상당한 수준. 우리나라는 전체 시설용량 가운데 실제 처리가능한 시설용량을 80%로 잡더라도 생활하수 발생량의 57%내외 (71.7%×0. 8) 를 처리할 수 있다는 셈이 나온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환경부가 지난해 밝힌 실제 생활하수처리율은 28%로 턱없이 낮다.

처리되지 못하는 72% 가운데 40%는 현재로서는 전혀 처리할 수 없으며 처리가능한 그 나머지도 하수처리장에 도달하지 못한 채 강과 호수.바다로 흘러들어 수질을 악화시킨다.

하수처리시설은 어느 정도 돼있지만 하수관망이 부족하고 깨지거나 막힌 하수관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의 경우 5마다 하수관이 깨지거나 막혀 이를 모두 보수하려면 약2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앞으로 발생한 생활하수를 제대로 하수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려면 하수관망의 신설과 개보수에 집중투자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실제 외국은 이미 하수처리에 새로운 접근방식을 택하고 있다.

일본 도쿄 (東京) 는 지난 94년 하수처리장 건설에 8백55억엔을 들인 데 비해, 하수관거 설치.확충에는 이보다 훨씬 많은 1천2백89억엔을 투자했다.

프랑스의 경우 62%의 하수를 처리하고 처리과정에서 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68%를 제거해 하수처리를 통해 전체 생활하수내 오염물질의 42%가 제거된다.

하수처리율 자체보다 오염물질제거에 더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는 것이다.

환경부 주봉현 (朱鳳賢) 하수도과장은 "일본의 경우 대규모 자문위원회등을 통해 정부와 학계.업계에서 하수도 관련기술개발에 힘을 쏟고있다" 며 "전문가 양성과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등에 대한 투자확대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