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요금인상 놓고 업계.시민단체 공방 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대구 시내버스 요금인상을 놓고 버스업계와 시민단체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이달중 요금이 인상되지 않을 경우 운행중단이 불가피하다" 는 업계와 "수입금을 정확하게 알아야 인상폭을 결정할 것 아니냐" 는 시민단체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 있기 때문이다.

버스업계는 지난 3월 기름값.임금등의 인상률을 감안해 일반버스의 경우 (일반인 기준) 현재 3백60원에서 4백50원 (25.69%) 으로, 좌석버스요금은 8백원에서 9백70원 (21.30%) 으로 올려달라는 안 (案) 을 대구시에 내놓고 있다.

그러나 대구 경실련.흥사단.소비자연맹.YMCA.YWCA등 시민단체 대표들은 16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시내버스 요금 검증위원회' 에서 "버스업계의 수입금이 공개되지 않는한 요금인상에 동의할수 없다" 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버스조합측은 ▶회사별.노선별 수입금을 매일 기록한 표준장부제 도입▶3개월 이내 버스에 삥땅방지용 CCTV설치▶매일 수입금을 노조와 확인한뒤 날인하는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제시했다.

이와함께 버스업계는 "이달중 요금이 인상되지 않으면 경영난으로 운행중단이 불가피하다" 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는 이날 회의에서 표준장부제 도입과 CCTV설치에는 합의했다.

그러나 수입금의 내용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매일 운전기사와 회사측이 수입금을 계산한뒤 날인토록하자는 제의는 버스노조측의 반대로 합의를 보지못했다.

시민단체는 "이같은 제도를 도입, 시행하면서 버스요금을 실사해 수입금이 투명하게 드러나면 요금인상에 동의하겠다" 고 맞섰다.

이날 회의에서 두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자 시는 대전.광주시의 인상안 수준인 일반버스 4백원 (일반인) , 좌석버스는 8백50원으로 하는 조정안을 내놓았다.

시 관계자는 "버스업계가 수입금의 공개대책을 마련한다는 조건아래 우선요금을 인상토록 하고 적자가 사실일 경우 내년 2~3월께 다시 조정하자" 는 입장을 보였다.

대구 =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