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정형 파괴 새 바람…인터넷으로 보는 웹진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잡지의 정형 파괴가 거침없이 이뤄지고 있다.

인터넷으로 보는 웹진 (Webzine) 은 물론 인터넷 정보를 다룬 무가지, 그리고 비디오 잡지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Pulp' 와 'W3' 는 인터넷을 소재로 한 신세대 잡지. '값싼 잡지' 란 뜻의 월간지 'Pulp' (http://www.bito.com) 는 주로 문화 현상과 관계된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한다.

디자인 전문회사 비토가 7월호로 창간. 화려한 편집이 특색이다.

'새로운 천년이 열린다' '인터넷 속의 한국인, 한국인 속의 인터넷' 등이 읽을 거리. 올초부터 보름에 한 권씩 내는 'W3' (http://w3.naeun.co.kr) 는 'World Wide Web' 을 줄인 말. 주로 소프트웨어 운용법, 인터넷 주소를 주제별로 소개한다.

두 권 모두 시립도서관.대학.인터넷 카페에서 무료 배포하고 인터넷 검색도 가능하다.

지난 15일 인터넷에서 개장한 '네가진' (http://www.sss.co.kr) 도 10대들이 만든 청소년 잡지. '네가 만든 잡지' 의 줄임말. 기획.편집 모두 10대가 맡았다.

섹스와 흡연문제등을 청소년들의 시각에서 해석한 '쿠오레' 도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무가지다.

시사지 사진기자와 프리랜서들이 만든 웹매거진 '다큐네트' (http://www.docunet.org) 도 눈에 뛴다.

인쇄매체에 실리지 못한 다큐멘터리 사진이 담겨 있다.

어두운 사회의 그늘을 비롯해 인권회복을 주장하는 사진까지 다양한 작품이 실려 있다.

이처럼 현재 인터넷에서는 웹진이 무수히 개설돼 있다.

한국형 인터넷 검색엔진인 '심마니' (http://simmany.hnc.net) 의 검색란에 웹진을 입력하면 무려 32개의 관련 사이트가 소개된다.

청소년.의료.건축.패션.광고등 여러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지난달 창간된 '플럭서스' 는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는 무가지를 비디오로 옮긴 독특한 경우. 음악.영화.패션등 대중문화 전반을 다루고 있다.

독자들에 무료로 나눠주는 대신 광고료도 제작비를 충당하는 아이디어 상품이다.

현재 7월호를 제작중이다.

홍수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