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아 경영진에 책임 묻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시중에 자금을 풀고 기아그룹 하청업체에 지원을 늘리되 기아그룹 경영진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기로 했다.

재정경제원은 기아의 1, 2차 부품.설비협력사 2천여개를 포함해 모두 5천개 하청업체에 대해 올해말까지 업체당 1억원씩 총 5천억원의 특례보증 (한도이외로 인정해주는 보증) 을 실시하겠다고 16일 발표했다.

재경원 관계자는 "신용보증기금등 신용보증기관을 통해 기아 발행 진성어음을 소지한 하청업체에 특례보증을 해주겠다" 며 "그러나 기아 발행 융통어음이나 기아 하청업체 발행 어음은 특례보증을 받을 수 없다" 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한은의 환매채 (RP) 매입을 통해 15일 하룻동안 1조원을 공급한데 이어 16일부터 이틀간 5천억원을 풀었으며, 제일은행등 채권금융기관에 외화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아 경영진의 거취와 관련, 정부의 고위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채권금융기관이 판단할 일이지만 특수강 사업에 진출하는등 방만하게 경영을 한 현 경영진이 책임져야 할 것" 이라고 밝혀 김선홍 (金善弘)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의 퇴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기아그룹은 자구계획의 일환으로 현재 28개에 달하는 전체 계열사를 통폐합등의 방법으로 14개로 줄이고 기아자동차.아시아자동차등 핵심 계열사들의 자산 1조9천억원어치를 매각할 방침이다.

기아그룹은 부도유예협약 기간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자구계획 방안을 마련,가칭 경영혁신기획단을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실천해 나가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한편 기아그룹이 국민차사업을 벌이고 있는 인도네시아 정부는 기아그룹의 부도유예협약 적용대상 선정과 관련, 영향과 문제점에 대한 조사작업에 착수했다고 자카르타 무역관이 16일 보고했다.

고현곤.이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