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현인택·김석기 ‘운명의 한 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현인택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각각 9일과 10일 인사청문회장에 선다. 용산 재개발 농성자 사망사건 관련 일정도 주 초반에 몰려 있다.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가 9일, 국회 차원의 긴급 현안 질의가 11일로 예정돼 있다. 그 무렵 당정이 재개발사업 개선책도 발표한다. 모두 김석기 경찰청장 후보자의 거취와 관련 있는 일정이다. 이들로선 ‘운명’의 한 주인 셈이다. 여권에선 “인사 국면이 이대로 끝날지 이어질지 결국 이들에게 달렸다”는 얘기가 나온다.


현인택 후보자를 두고는 민주당이 파상 공세 중이다. 아예 ‘비리 종합백화점’으로 규정해 낙마시킨다는 전략이다. 특히 연구 실적과 재산 의혹을 집중 제기하고 있다. 8일에도 이미경 의원이 논문 두 편과 저서 한 편을 문제 삼았다. ▶두뇌한국21(BK21) 논문의 영문 초록이 이전 자신의 논문 초록을 그대로 베껴 쓴 것이고 ▶자신이 번역하지 않은 영문 논문을 자기 실적으로 등록했다는 것 등이다. 박선숙 의원도 “현 후보자가 2006년도 종합소득세 신고 때 임대수입을 500만원이라고 했는데 다른 건물과 밭에 대해선 제대로 신고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일각에서도 현 후보자의 대북관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현 후보자는 학자 시절 “한반도 장래를 생각할 때 가장 영구적이고 탄탄한 평화의 도래는 같은 체제를 가진 ‘두 국가’가 태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이를 두고 여당의 홍정욱 의원은 “통일을 지향한 헌법과 배치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현 후보자는 이에 대해 적극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7일부터 해명 또는 반박 보도자료를 냈다. 이미경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도 “학계의 일반적 기준과 전문 영역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애매모호한 기준을 들이댄 결과 나타난 착오와 오해”라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는 “현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어떤 모습을 보이느냐가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 여권의 기류는 대체로 “논란이 제기될 순 있겠으나 물러날 수준은 아니다”는 정도다.

원세훈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유경험자다. 지난해 2월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로 이미 검증을 받았다. 민주당은 당시 ‘적합’ 판정을 내렸다. 그래선지 민주당은 이번엔 정보기관의 수장으로서 적합성과 용산 사건 책임론 문제를 주로 제기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때 부시장을 지낸 이력을 들어 ‘S(서울시)라인 인사’란 점도 부각하고 있다. 김유정 대변인은 “정보 관련 경험이 없는 사람이 대통령과의 특수 관계 때문에 국정원장이란 중요한 자리에 가는 건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국무위원으로서 역량이 이미 검증된 원 후보자에 대한 공세는 불량한 흠집 내기”(윤상현 대변인)라고 반박하고 있다.

김석기 후보자에겐 9~11일까지가 중요하다. 여권 내에서 한때 유임론 또는 사퇴론을 폈던 사람들 대부분의 의견이 근래 “결국 여론 추이에 따라 이 대통령이 판단할 것”이란 쪽으로 수렴되고 있다. 한마디로 오리무중이란 얘기다. 이들 세 명의 ‘생환’ 여부는 2월 정국의 풍향계가 될 전망이다.

고정애·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