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수골프클리닉>퍼팅 백스트로크 요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0면

퍼팅때 주말골퍼들이 가장 많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백스트로크 때의 헤드 궤도다.

퍼팅 스트로크의 핵심은 '똑바로 끌어서 똑바로 내민다' 로 설명된다.

즉 퍼팅선 연장선 위로 퍼터 헤드가 움직여야

한다는 것. 그러나 롱퍼팅일 경우를 생각해 보자. 롱퍼팅은 스트로크의 폭이 커져야 한다.

스트로크를 크게 하기 위해 퍼팅선 연장선 후방으로 퍼터 헤드를 똑바로 최대한 끌 경우 최초 어드레스에서 갖춘 양어깨.양팔.양손 그립이 이루는 5각형 구도는 무너지고만다.

바로 여기서 백스트로크때의 올바른 헤드 궤도를 찾아낼 수 있다.

백스트로크는 퍼팅선 후방 연장선 위로 똑바로 끄는 것이 아니다.

물론 스트로크 폭이 작은 쇼트퍼팅에선 그 구분이 안된다.

그러나 스트로크 폭이 커지는 롱퍼팅에선 확실해진다.

즉 퍼팅 스트로크 역시 일반 아이언 클럽의 스윙과 마찬가지로 원호를 그리는 것이다.

롱퍼팅때 클럽 헤드를 똑바로 끈다는 것에만 집중할 경우 5각형 구도가 무너지면서 어깨회전으로만 치는 정확한 스트로크를 할 수 없다.

또 임팩트에서 폴로스루에 이르는 과정의 헤드 궤도는 안쪽으로 끌어당기고 만다.

롱퍼팅일수록 올바른 백스트로크는 퍼팅선을 기준, 원호를 그리면서 안쪽으로 헤드가 진행돼야 한다.

임팩트 이후의 퍼터 페이스는 롱퍼팅.

쇼트퍼팅에 관계없이 퍼팅선 위에 똑바로 있어야 한다.

즉 클럽 페이스가 퍼팅선 위에 그대로 있으면서 목표와 직각을 유지해야 한다.

롱퍼팅때 또하나 중요한 것이 양손 그립의 위치. 아무리 스트로크 폭이 크다 해도 양손 그립은 자신의 몸 범위를 벗어나선 안된다.

특히 임팩트 이후 양손 그립이 몸의 범위를 벗어나면서 공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즉 왼팔꿈치가 들리면서 양손 그립이 목표쪽으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 페이스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공을 굴리지 못하고 단지 밀어 (푸시) 줄 뿐이다.

푸시성 공은 항상 짧거나 목표 오른쪽으로 흐르기 십상이다.

아무리 먼거리의 퍼트일지라도 양손 그립이 자신의 몸 범위를 벗어나선 안되는 것이다. 손흥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