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동반 침체 언제까지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미국발 금융위기는 국제적인 합작품이다. 장기간 국제적인 저금리가 동시 진행되면서 부동산 버블이 커졌다. 미국은 2001년 9·11 테러를 수습하기 위해 초저금리를 1년 이상 유지했다. 그래서 지금의 금융위기는 빈 라덴의 시한폭탄이 뒤늦게 터진 것이라고도 한다. 넘치는 돈은 미국인들의 소비수요를 키웠다. 이를 지탱해 준 것이 마침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른 중국이었다. 중국의 수출품이 미국의 소비를 충족시켰던 것이다. 미국의 엄청난 무역적자는 중국의 무역흑자로 잡혔다.

이쯤 되면 보통은 달러화 가치가 떨어져야 한다. 하지만 또 중국이 거들었다. 막대한 외환보유액을 미국 국채에 운용한 것이다. 미국을 떠나 중국으로 흘러들었던 달러가 다시 미국으로 유입됐다. 그 결과 달러화 가치는 그럭저럭 유지됐다. 인플레 걱정도 할 필요가 없었다. 모두들 이렇게 잘먹고 잘살 줄 알았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는 동안 자연스럽게 이뤄졌어야 할 거시경제 조정이 제때 일어나지 않았다. 술자리에서 과음하기 직전 누군가 술병을 치웠어야 하는데 이걸 못한 것이다. 서로가 한바탕 잘 우려먹었다고나 할까. 그 뒤처리를 이제 모든 나라가 나눠 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서 우리가 ‘알리바이’를 주장할 수 있을까. 우리의 잘못이 없다고 위기를 피해갈 수 있을까. 천만의 말씀이다. 우리 경제는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2008년 4분기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5.6%를 기록했다. 지금의 불황은 간단히 스치고 지나갈 감기몸살이 아니다.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전치 1년이 3년, 아니 5년으로 길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남윤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