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 예보제 내일부터 실시 발령해도 전달 늦어 문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다음달부터 서울등 전국 6대 도시에서 실시될 오존예보제에 대한 충분한 사전 준비가 이뤄지지 않아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 14~16일 사흘동안 서울.인천지역에서는 지난해 전체 발령횟수에 육박하는 10차례의 오존주의보가 발령됐지만 예보가 되지않아 시민들이 미리 대처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자동차 운행 자제등 오존오염을 줄이기 위한 시민들의 협조도 구하지 못했다.

또 지난 17일 부산연산동 지점의 오존농도가 0.121에 이른 것을 비롯,이달들어 부산.경기지역에서 7회나 발령기준을 넘어섰지만 주의보는 발령되지 않았다.

따라서 6월 이전에 충분한 준비를 끝내고 늦어도 6월중 오존예보 수치를 공개,정확성을 미리 검증받는 절차를 거쳐야 했다는 지적이 일고있는 것이다.

이와함께 예보제.경보제의 신속한 전달체계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오존주의보가 해당 지역이나 언론기관등에 전파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한 30분.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오존예보에 필요한 기온등 기상자료를 기상청에서 전달받는 과정이나 오존오염도 예보수치를 언론사등에 전달하는 과정도 더디기는 마찬가지다.

현재와 같은 1대1 팩시밀리 송신으로는 지방자치단체나 언론기관등 40여곳에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데 2시간 가까이 걸릴 수 밖에 없다.

전문가들은“오존경보와 예보사항을 신속히 전달.전파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일기예보에 사용하는 동시 전송장치를 도입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