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과시민대토론회>1. 이회창 신한국당 대표 - 大選자금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회창(李會昌)신한국당대표는 92년 대선자금과 관련,여야 모두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여야는 각기 다른 이유로 반대 내지 반발하고 있다.李대표가 뭔가를 잘못 알고 있다는 지적에선 여야가 일치한다.

李대표의 발언에 신한국당 관계자들부터“대선자금 공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이의를 제기했다.한 고위 관계자는 1일“박관용(朴寬用)사무총장이 청와대와 대선자금 공개 여부를 놓고 조율을 시작했다”고 확인했다.그러나 조율이라는 게“당 입장은 공개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를 받아“李대표의 발언은'당대표로서'가 아니라'경선주자로서'한 것”이라며“당의 공식견해는 朴총장의 말”이라고 정리했다.대선 출마를 희망하는 인사들이'정치적 발언'을 하고 있는데 李대표의 말도 그런 차원에서 이해하면 된다는 얘기다.李대표의 언급에 무게를 두지 말라는 주문이다.

당 관계자는 이를 상기시키면서 ▶당차원에서 법정선거비용 이상을 썼음을 시인한뒤 이를 국민들에게 사과하고▶올 대선에서 돈 안드는 선거를 치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제시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야권은 李대표가 다급한 김에 내놓은 정치공세로 치부하고 있다.여권 대선자금'스캔들'을 희석시켜 옹색한 국면을 탈피하려는 궁여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당사자격인 김대중(金大中)국민회의총재는 1일“우리가 쓴 돈은 신고액 2백7억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일축했다.자금출처와 관련,“경제인들로부터 받은 것은 사실이나 대가성 없는 돈이었다”고 주장했다.

92년 대선당시 대선기획단장이었던 이해찬(李海瓚)의원은“여당은 대선을 열흘정도 남겨두고 자금이 쇄도했다지만 우리는 열흘을 남겨놓고 자금이 바닥나 사실상 조직적인 선거운동을 중단했다”고 했다.쓰고 싶어도 쓸돈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자민련은 당시 민자당에 있었던 위원장과 사무처 요원을 중심으로 자신들이 제기한 4천억원설의 근거 보완 작업에 착수했다.국민회의도 제보전화 설치등 물증확보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현종.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