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구 해방후 첫조사 - 통일대비 참고자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보건사회연구원이 23일 공개한 북한인구센서스 분석결과는 지금까지 철저히 베일에 싸여 있었던 북한의 인구통계를 본격 해부했다는 점에서 우선 의미가 있다.

북한은 63년부터 자료공개 금지원칙에 따라 공식적인 통계자료의 발표를 통제해왔기 때문이다.보사연의 분석에서 핵심자료로 사용된 것은 북한이 94년 국제연합인구활동기금(UNFPA)의 도움을 받아 해방이후 최초로 실시한 인구센서스 결과였다.

이 인구센서스는 93년 12월31일 현재 북한 국적의 모든 거주민을 대상으로 했으며 집단생활 시설단위를 포함했다.

조사결과는'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인구 일제조사 자료집'으로 정리됐으며,보사연은 UNFPA를 통해 이를 입수했다.

분석결과 북한의 인구통계는 사회주의체제의 특징을 자연스럽고도 철저히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사연측은 낮은 공장 가동률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참가율,공업부문 노동력비중이 남한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 단적인 예라고 제시한다.노동에 대한 국민의 의무를 강조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인력을 공장등에 배치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이에따

라 보사연은 통일이후 동독 지역의 산업별 고용구조가 서독 지역의 고용구조와 비슷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독일 통일후 동독 근로자들이 경험했듯 북한이 지금과 같은 산업인력 구조를 유지한다면 한반도 통일 이후에 북한주민들도 대량 실업사태에 직면할 우려가 있다는 분석이다.한편 이번의 북한 인구센서스는 65만명에서 최고 1백25만명으로 추

정되는 군인의 숫자가 고의적으로 누락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곳곳에서 나타나 조사의 신뢰성에 다소 흠결을 남겼다는 지적도 있다.

보사연은 그러나 이번 분석결과에 대해“최근 북한의 횡적 인구분포를 파악하는데 있어 기존의 어떤 북한인구 통계보다 자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라고 평가했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