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불합리한 점 많아 … 내년 3월 조직 전면 개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인적 쇄신 논란을 빚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가 내년 3월 전면적인 조직 개편을 추진한다. 올 2월 이명박 정부 출범 때 두 부처(옛 교육인적자원부·과학기술부)를 통합했지만 정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안병만(사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23일 “일이 많은 곳은 많은데 적은 곳은 적고, 어떤 곳은 책임질 일이 많은데 다른 곳은 안 그래서 불합리한 게 많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하고 “최근 불합리한 점을 부서별로 써내라고 지시했다”며 “내년 1월 외부에 조직 개편 컨설팅을 맡기겠다”고 설명했다. 공무원들의 융합과 교육·과학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2차 조직 수술’을 하겠다는 것이다.

안 장관은 “늦어도 1월 10일까지는 1급은 물론 국장 이하까지 인사를 마무리해 조직을 재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교과부 1급 7명 전원은 사표를 냈다. ▶영어 교육 ▶교과서 수정 문제 ▶4·19 데모 표현 ▶사학 분쟁 문제 등 교육정책 혼선 책임을 지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자 국세청·농림수산식품부·국무총리실 등 다른 중앙부처 1급 공무원들도 사표를 내 교과부는 인사 혁신의 진앙지가 됐다.

안 장관은 이날 사표가 수리된 우형식 제1차관과 관련, “(내가) 가급적 빨리 사표를 수리해 달라고 청와대에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차관이 국회에 가서 답변할 일도 많은데 사의를 표명한 상태로는 일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렇게 했다”고 설명했다. 후임 차관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없다. (이주호 전 청와대 수석 내정설도) 신문을 통해 알았지 청와대와 전혀 상의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수능 과목 축소 등 인수위 정책을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의식한 발언도 했다. 그는 “부처는 정책을 만들고 집행해야 하는데 올해 대부분의 정책 제안을 대통령직 인수위에서 했다”며 “영어만 해도 ‘어륀지’ 논란부터 시작해 사회적 파급을 일으킨 게 많아 개혁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인수위 안은 당위성에 대한 것이고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합리성과 현실성이 중요하다는 주장이었다.

안 장관은 “노무현 정부 때는 ‘가짜 평준화’ 교육정책을 했다”고 지적했다. 영어로 소설책을 쓸 정도로 영어를 잘하는 학생이 학교에 들어가서 ABC부터 배우는 것은 평준화가 불러온 큰 낭비라는 것이다. 그는 “국제중·영재학교 도입은 우수학생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교과부는 27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새해 업무보고를 한다. 안 장관은 “외국 장학생을 한국으로 초청하는 한국형 풀브라이트 사업을 내년 주요 업무 중 하나로 추진하려 한다”고 소개했다. 

백일현 기자

[J-HOT]

▶ 한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 폴란드 상원의장 "한국 도저히 이길 수 없다고 느껴"

▶ 요즘 집주인들이 은행에 발길 잦아진 이유

▶ 남성들 수면제 먹여 돈훔친 '도우미 2인조'

▶ '쌍추부부' 명의로 1000명이 기부금, 알고보니…

▶ "취직 못했니…1년 더 다녀, 무료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