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리포트>아사히.산케이 신문 종군위안부 문제로 싸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종군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의 아사히(朝日)신문과 산케이(産經)신문의'싸움'이 치열하다.종군위안부에 관한한 일반기사 뿐만 아니라 해설.사설.칼럼에 이르기까지 그 시각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우익성향의 산케이는 과거 일본정부나 군이 종군위안부를 모집.이송.관리하는데 직접 개입했다는 문서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내세워 일본이 한국.중국등 피해국에 사과 또는 배상하는데 반대하는 입장을 고집해왔다.

이에 대해 아사히는 종군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과 당시의 정황으로 볼때'강제성'이 있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는 논리로 산케이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두 신문은'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설립,역사교과서의 종군위안부 관련기술등 이슈가 생길때마다 지면을 통해 논쟁을 벌여왔다.종군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불하기 위해 설립된 아시아여성기금에 대해 산케이는 민간기금 형식의 보상조차 노골적으로 반대해왔다.

그러나 아사히는 민간차원의 보상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정부차원에서 배상해야 한다는 논지를 펴왔다.

올봄부터 사용되는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종군위안부에 관한 내용이 실리게 되자 산케이는'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회'를 이끄는 후지오카 노부가쓰(藤岡信勝)도쿄(東京)대교수.인기 여성저널리스트 사쿠라이 요시코(櫻井よしこ)등 우익지식인들을

대거 지면에 등장시켜 반박논리를 폈다.그러나 아사히측의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부정하는 우익지식인들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얼마전 사쿠라이가 종군위안부 운영에 대한 군의 개입을 인정한 93년 8월4일의 관방장관 담화는“한.일간의 밀약에 의한 것”이라고 지적하자 아사히는 당시 담화발표자였던 고노 요헤이(河野洋平.사진)전관방장관을 다시 인터뷰,군의'강제성

'이 있었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받는등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고노 전장관은“'강제연행'을 정부가 법률적인 절차에 따라 폭력적으로 여성을 끌어냈다고 정의하면 그 증거를 댈수는 없으나'본인의 의사에 반해 모집됐다'고 해석하면 분명 강제성은 있었다”고 단언했다.

종군위안부 문제에 관한한 요미우리(讀賣).마이니치(每日)등 다른 언론들은'아사히-산케이전(戰)'의 틈바구니에 낀 형국이다. [도쿄=김국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