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청년인턴제 대폭 확대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청년 실업이 심각하다. 지난 10월 20대 일자리는 13만 개가 줄었고, 30대 일자리는 3만6000개가 줄었다. 20대 취업자 수는 외환위기 직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경제위기의 파도가 청년들의 일자리부터 빼앗고 있는 것이다. 구조조정의 찬바람이 기존 취업자들의 일자리마저 위협하고 있는 마당에 청년들에게 돌아갈 새로운 일자리는 갈수록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명박 대통령은 어제 라디오 방송을 온통 청년 취업난 해결에 할애했다. 청년 일자리 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얘기다. 이 대통령은 “청년실업은 청년들만의 고통이 아니라 가족의 고통이자 국민의 고통이요, 나라의 큰 걱정거리”라며 “다양한 취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도 미래산업분야 청년리더 10만 명 양성 프로그램, 청년 인턴제, 저소득 청년층에 대한 뉴스타트 프로젝트, 해외 연수 및 취업 프로그램 등 다각적인 취업 대책을 마련 중이다. 그러나 이들 대책은 모두 예산이 배정되는 내년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내년에 공공분야에서 16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겠다는 계획이지만 실제로 얼마나 많은 일자리가 생길지는 미지수다. 또 공공 분야의 일자리는 대개 일시적이어서 장기적인 취업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것도 문제다.

최선의 일자리 창출은 기업이 고용을 늘리는 것이지만 경제위기 속에 자발적인 고용 확대를 기대하긴 어렵다. 그렇다면 정부와 기업이 청년 취업자의 임금을 분담하는 청년 인턴제를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중소기업에만 적용되는 청년 인턴제를 고용 여력이 큰 대기업까지 넓히고 신규 고용 기업에 세제 혜택을 늘리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는 것은 어차피 청년들 개개인의 몫이다. 눈높이를 낮추고 취업이든 창업이든 가능한 한 기회를 최대한 잡아야 한다. 이 대통령도 “새로운 경험을 쌓겠다는 각오로 어디든 부딪혀 도전하겠다는 투지가 젊은이들 사이에 넘쳐나기 바란다”고 했다. 우리 젊은이들이 이 엄혹한 시기를 이겨낼 수 있다면 한국의 장래는 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