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 깃발든 클린턴-과외병에 멍든 한국에 주는 교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과연 교육대통령이 되고 싶은 것일까.클린턴은 4일(현지시간) 올해 국정연설에서 21세기 정보화사회에 대비하는 가장 중요한 국가안보 과제로 교육을 꼽고 과감한투자를 약속했다. 그가 미국의 교육 재건을 위해 내놓은 제안은 다양하다.우선 초등교육 강화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의 읽기 테스트,8학년의 수학 테스트를 오는 99년까지 전국 각 주 모든 교육구의 학생들이 치르도록 하자고 제안했다.지방자치 때문에 연 방정부가 이를 의무화할 수는 없지만 실시비용은 연방정부가 대고 각 교육자치구의 경쟁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나날이 오르기만 하는 대학 학비에는 세금 혜택을 확대하고,모든 교실과 도서관은 인터넷을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만들겠다고 약속했다.10만명 이상의.우수교사'를 양성하고 1백만명의 자원봉사 선생님을 확보해 모든 국민이 여덟살이면 읽기 를 깨치고,열두살이면 저마다 인터넷을 다루며,열여덟살이면 누구나 대학에 갈 수 있는 실력을 갖추도록 하겠다는게 클린턴의 구상이다. 내년 연방정부의 교육예산을 올해보다 20% 늘어난 5백10억달러로 책정하고 2002년까지는 이를 6백억달러로 늘리며,이중50억달러는 앞으로 4년간 학교를 짓고 고치는데 배정할 계획임도 밝혔다.정보화와 하이테크 물결속에 급격히 변 해가는 미국에서는 “배우지 못하면 저소득계층으로 떨어지고 만다”는 위기감이도처에 팽배하다.그런 위기감은 미국사회의 경쟁력을 더욱 크게하는 원동력이지만 별다른 대책 없이 엄청난 사교육비의 부담위에 부모들의 .교육열'에만 의지하는 한 국과 같은 나라에는 미국과의 격차를 더욱 벌려놓을.미래 안보적 위협'이다. 안보.경제 모든 면에서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우뚝 선 미국의 대통령이 향후 4년간의 국정운영 최우선 과제로 교육을 앞세웠다는 점은 경쟁력 상실 위기에 처한 한국으로서는 몇번이고 곱씹어야할 대목같다. [워싱턴=김수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