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깔끔 강박증’… 성격 탓만 하지 마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깔끔함’은 A씨(32·여)의 트레이드마크다. 자로 잰듯 반듯하게 정돈한 책과 책상, 미끌어질 듯 반질반질한 바닥. 하지만 그녀의 삶은 고달프다. 집안을 아무리 깨끗이 쓸고 닦아도 먼지가 있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하루에 청소하는 데만 서너 시간은 소비하는 것 같다. 결혼 후의 삶은 더 힘들어 졌다. 남편 때문이다. 귀가 후 곧바로 소파에 털썩 앉는가 하면, 샤워도 안 하고 여기저기를 만지고 다니다. 괴로운 건 A씨 남편도 덜하지 않다. 지친 몸으로 귀가한 날, 질색한 얼굴로 ‘샤워해라’‘손 씻어라’는 식의 잔소리를 끊임없이 해대기 때문이다. 이제는 아내가 지겹다. A씨는 강박증 환자의 어려운 일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문화에 따라 유병률 달라=강박증 환자는 병균 걱정에 계속 손을 씻고, 뾰족한 물건(송곳)만 봐도 찔릴 것 같은 두려움을 떨칠 수 없다. 사소한 물건도 한 번 ‘잃어버리면 어쩌나’하는 생각이 들면 전전긍긍하고, 화장실에서 휴지도 네 귀퉁이가 칼로 자른 듯 반듯하게 접혀야 한다. 문이 제대로 잠겼는지, 가스불은 제대로 껐는지 확인하기만 하루 수십번이다. <표 참조>

물론 본인도 생각과 행동이 지나친 건 안다. 그래도 멈출 수 없다. 억지로 자제하다 보면 참을수 없을 만큼 불안감이 밀려와 결국엔 하고야 만다.

강박증 평생 유병률은 2~3%다. 하지만 문화권에 따라 차이가 크다. 서울대 의대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 청결에 관대한 중화문화권에 속하는 대만은 유병률이 0.7%지만 억압적인 문화권에 놓인 중동에서는 3~4%나 된다”며 “강박 성향이 있어도 발병 여부는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원인은 뇌기능 이상=강박증은 뇌의 신경회로 이상으로 자신의 생각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병이다.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이치에 안 맞는 줄 인식하고, 또 그런다고 즐거운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일단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이 들면 기어코 반복해야만 긴장·불편함·공포·불안 등이 줄어든다. 그래서 할 수 없이 한다.

물론 이런 성향이 반드시 문제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반복 확인을 통해 실수를 안 하는 정확한 성격이 일터에선 높은 업무 성취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증상이 경미할 때 인정되며, 하루 한 시간 이상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을 한다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마련이다. 하루라도 빨리 치료를 받아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 물론 ‘성격 탓’으로 돌리고 치료를 안 받는 환자가 더 많아 국내에만 수십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약물과 인지행동 치료 병행=치료는 약물치료를 통해 뇌기능 이상을 정상화하면서 인지행동 치료를 병행해야 효과가 높다.

인지행동 치료는 강박 증상을 일시적으로 악화시킨 뒤 이를 참는 일을 반복하는 것. 예컨대 화장실에 다녀온 후 손을 안 씻고 견디는 일을 반복하는 식이다. 따라서 상태가 중등도 이상 되는 환자는 치료 자체로 불안이 증폭돼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일단은 뇌기능 이상을 안정화 시킨 뒤 인지행동 치료를 시작한다.

약물은 우울증 치료제로도 사용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 (SSRI)가 사용된다. 단 치료기간과 용량은 우울증과 다르다. 권 교수는 “강박증 환자는 우울증 환자에게 사용되는 용량의 2~4배를 8~12주 사용해야 효과를 본다”고 강조한다. 참고로 우울증은 짧게는 2주일, 길어도 6주만 복용하면 일단 증상이 호전된다. 증상이 호전된 뒤 2년 이상 지속 치료를 받아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황세희 의학전문기자·의사

[J-HOT]

▶ "선이자 줬는데 깜깜 무소식…전화하니 성희롱"

▶ 김현희 "신변 위협 느껴 가족과 집 버리고 피신"

▶ 현영 수입 90% 저축, 문근영 4년째 같은 잠바

▶ "스포츠 중계하던 방송사 헬기에 'UFO' 포착"

▶ 휴대전화 분실했다 '아내 누드사진' 유포돼

▶ "연말 그녀와 같이" 2위 이효리, 1위 예상밖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