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키우기] 11월 18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공통>

① 언어가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② 각 나라에서 쓰는 언어를 조사해 보고 세계 언어가 몇 개인지 조사해 보세요. ③ 방언의 뜻을 써 보세요. ④ 표준어와 지역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⑤ 지역어 보존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300자로 설명하세요. ⑥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계급 방언)의 의미를 조사해 보세요. ⑦ 지역어의 가치를 다섯 가지만 설명하세요. ⑧ 소멸된 언어나 곧 없어질 언어를 찾아 그 이유를 조사해 보세요.

<초급>

① 언어가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보세요. ② 신문 인터뷰 기사 중 일부를 지역어로 바꾸어 보세요. ③ 남북이 분단돼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언어 표현이 달라졌어요. 지역어가 시간이 흘러 사라지면 어떤 일이 생길지 상상해 보고 4컷 만화로 표현해 보세요. ④ 우리 학교를 사투리로 소개해 보세요. 그리고 그 내용을 표준어로 고쳐 보세요. ⑤ 최근 유행되는 노랫말을 지역어로 바꿔 불러 보세요. ⑥ 김영랑의 시 ‘오메 단풍 들겄네’는 지역 사투리를 구사해 친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 사투리로 시를 지어보세요. ⑦ 만약 교과서가 지역어로 구성돼 있다면 어떤 일이 생길지 생각해 보세요.

<고급>

① 헌법재판소에서 표준어 규정에 대한 헌법소원 사건의 공개변론이 열렸습니다. 소송을 낸 ‘탯말두레’의 입장을 서술해 보세요. ② 최근 표준어와 지역어 사용을 두고 공방이 벌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양쪽의 변호인이 되어 주장글을 써 보세요. ③ 표준어 규정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입니다. 이 규정 가운데 논란의 소지가 있어 바뀌어야 할 대목은 무엇이고, 논란이 되는 이유를 300자로 써 보세요. ④ 유럽연합 국가 학생 중 90%가 영어를 제1 외국어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정에서 우리말을 사용하니까 학교에선 영어를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를 반박하는 자신의 견해를 600자로 서술하세요. ⑤ 수도를 중심으로 표준어를 규정하는 데 대한 자신의 생각을 써 보세요.

※NIE면 제작에 참여하신 분=▶중앙일보 NIE 교사 연구위원: 김춘식(영일고) 성태모(능주고) 정성록(서진여고) ▶중앙일보 NIE 강사 연구위원: 이정연 정옥희 심미향

※‘생각 키우기’ 예시 답안은 중앙일보NIE연구소 홈페이지(www.jnie.c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