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2003년에 819만건 해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지난해 경기침체의 여파로 2개월 이상 보험료를 연체해 효력이 상실되거나 계약자가 자진 해약한 생명보험 계약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18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003회계연도가 시작된 지난해 4월부터 올 2월까지 11개월 동안의 효력상실.해약건수는 모두 819만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2회계연도 전체의 598만8000건보다 이미 36.8%가 많은 것으로 올 3월의 효력상실.해약건수까지 합치면 증가율은 40%를 훨씬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생명보험의 효력상실.해약건수는 1996년만 해도 500만건에 못미쳤으나 외환위기를 맞은 97년 720만건에 육박했고 98년에는 950만건으로 불어났다. 이후 효력상실.해약건수가 빠르게 줄어 2000년부터는 3년 연속 500만건대로 떨어졌으나 지난해 11개월 만에 다시 800만건을 넘어섰다.

지난해의 819만건 중 2개월 이상 보험료를 내지 못해 효력이 상실된 계약은 모두 443만5000건이고 계약자가 스스로 해약한 건수는 375만5000건이었다.

한편 지난해에는 새로 보험에 가입한 건수(신계약건수)도 줄어 11개월 동안 1940만건에 그쳤다.

보험소비자연맹 조연행 사무국장은 "효력이 상실된 계약도 2년 이내에 연체된 보험료만 내면 계약을 살릴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간 연체가 불가피하더라도 계약을 말소하지 않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