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안전관리센터 설치 본사 직원 상주하며 공정 감독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87호 28면

먹거리 안전 문제는 비단 올해 만의 일이 아니다. 2000년 이후만 해도 1~2년에 한 번꼴로 먹거리 안전 관련 대형 사고가 터졌다. 특히 올해는 여느 해보다 사고가 많았다. 올 들어 아직까지 무사한 대형 식품회사는 손에 꼽을 정도다. 국내 최대 식품회사 CJ도 그중 하나다. 2004년 쓰레기 만두 파동, 2006년 학교 급식 파동으로 곤욕을 치르면서 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해 온 덕분이다. CJ는 대표이사 주관으로 식품안전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국내뿐 아니라 중국에도 식품안전센터를 두고 있다.

멜라민 파동 피한 CJ의 비결은

김창민(사진) CJ 식품안전센터장은 “업계 일각에선 ‘식품도 공산품인데 100만 개 중 한두 개 불량품이 나올 수 있는 게 아니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먹거리에 불량품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

1998년 출범한 이 회사 식품안전센터는 매년 1회 불시에 자사 및 납품회사(OEM 업체) 공장을 점검한다. 이때 위생 기준에 미달하면 생산 중단 또는 거래 중지 조치를 취한다. 중국 현지 공장들도 마찬가지다. 중국 칭다오 공장엔 2006년부터 식품안전센터 직원이 상주하면서 제조 공정을 관리하고 있다. 중국 내 OEM 공장에도 본사 ‘인스펙터(품질 관리관)’를 파견해 품질 관리를 하고 있다. CJ는 ‘식품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도 해오고 있다. 주니어·키·마스터 등 수준별로 14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내년엔 OEM 업체 임직원에게도 무상 교육을 할 예정이다.

김 센터장은 “식품회사 전 직원은 ‘문제 제품을 내 가족이 먹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갖고 식품안전 전문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산 식품 원료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질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한국의 식량 자급률이 28%에 불과한 현실에서 식품 원료 수입은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수입 원료에 대한 소비자 불신도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얘기다.

김 센터장은 “국내 주요 식품업체가 공동으로 중국에 민간 식품안전 관리기구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이번 멜라민 파동은 한국산 식품의 안전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