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생각합니다>젖은쓰레기 반입금지 수질오염 부추길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재활용품들이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은채 일반쓰레기처럼 양만 늘어가고 썩어간다는 보도를 접했다.수도권 쓰레기 매립장의 젖은 음식쓰레기에서 흐르는 오물이 악취와 토질오염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반입을 중지시킨다는 기사도 접했다.
재활용품중 우유팩.PET병.요구르트병등을 분리할 땐 반드시 물에 깨끗이 씻어 내용물을 제거해야 한다.특히 우유팩을 씻을 때 뿌연 물이 무척 많이 나오는 편이다.
우유 한 스푼을 정화하려면 욕조 가득 물이 필요하다고 들었다.결국 우린 재활용하지도 못하는 분리수거를 위해 하루 몇천t씩의 수질만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또한 환경당국에선재활용품을 재활용하지도 못하면서 수질오염만 악화 시키는 근시안적인 정책을 펴고 있는 것 같다.
또 쓰레기 매립지 주변의 토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젖은 쓰레기 반입을 금지한다면 가정에서 음식쓰레기의 물기를 완전히 빼거나 말린 후 배출해야 하는데 이는 토질을 오염시키는 오염물질이일반 하수구로 대량 배출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의 물기를 빼고 말리는 것은 동절기엔 어느정도 가정에서도 가능하나 하절기엔 악취와 해충이 들끓게 될것이 자명한 사실인데 김포 매립지 주변의 악취와 토질오염은 문제가 되고 일반 가정에서의 불편과 수질오염은 아 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그리고 재활용품을 활용해 얻게 되는 기업이윤은 과연 얼마며 재활용품 분리수거 과정에서 오염된 수질을 정화하는데 소용되는 국고는 얼마나 될것인가를 생각할 때 비단 손익문제 뿐만 아니라2000년대에는 수질오염과 고갈로 제한급수를 하 느니 하는 말을 들을 때마다 우리의 환경정책이 10년 뒤를 생각하고 있는지염려스럽다.
이지영<서울동작구대방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