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합해 위기 타개” 호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휴일인 26일 오전 8시에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시작된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는 3시간이 넘도록 이어졌다.

이후 이 대통령은 다음 날 국회에서 하게 될 시정연설 준비에 몰두했다. 수석비서관 회의와 연설문 독회를 밤늦게까지 직접 주재했다. 수석들은 외부의 휴대전화도 받지 않는 등 청와대엔 종일 긴박감이 이어졌다.

이 대통령은 전날 오후 8시21분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를 마치고 귀국한 그는 공항에서 정정길 대통령실장으로부터 패닉 상태의 국내 금융시장 상황을 보고받고 즉석에서 수석들과 구수회의를 열었었다. 무거운 표정이었다고 한다. 5개월 전인 5월 30일 밤 3박4일간의 방중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을 때와 비슷했다. 당시엔 광우병 파동과 촛불집회가 대규모로 확산되는 시점이었다.

이번엔 금융위기가 실물경제 분야로까지 확대되는 기로에 섰다. 적절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면 1997년 외환위기 사태가 재연될지 모른다는 게 이 대통령의 인식이다. 극복하지 못할 경우 새 정부의 국정 운영 자체가 회복할 수 없는 수렁에 빠져들 것이란 판단도 하고 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27일 위기 극복의 분수령이 될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정파를 초월한 초당적 협력과 예산안 조기 처리를 요청할 생각이다. 현직 대통령이 국회에서 직접 시정연설을 하는 것은 2003년 10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취임 첫해 이후 5년 만이다. 이 대통령은 연설에서 위기 타개를 위한 ‘국민 단합’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한다.

정치권에선 그러나 이 대통령의 호소가 ‘약효’를 발휘하려면 정부 차원에서 먼저 특단의 ‘고통 분담’ 조치를 취한 뒤 국민 참여를 설득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장롱 속의 달러 내놓기 호소가 아무 반응이 없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 대통령이 경제팀의 교체 여부와 관계없이 우선 엇박자를 보이고 있는 현 경제팀이 일사불란하게 운영되도록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의 한 중진 의원은 “야당에 초당적 협력을 당부하려면 말보다는 발품을 팔아서라도 찾아가 설득하는 ‘성의 표시’를 주저치 말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말잔치로 끝난 베이징 ASEM에서 보듯 보다 실효성 있는 국제 공조 대책을 위해선 이 대통령이 외국 주요 지도자와의 핫라인도 상시 가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이 위험하다”는 일부 외신 보도에 ‘오보 타령’만 할 게 아니라 청와대가 나서 외신에 치밀한 선제 홍보를 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무엇보다 8·3 사채 동결, 금융실명제 등 과거의 모든 경제 비상 조치는 ‘전격적이고 과감하게’ 단행됐다는 조언도 지금 청와대를 향하고 있다. “한국의 경제 규모가 커서…” “종합 대책에는 시간이 좀…” “금리 인하는 한은의 몫이라서” 등의 한가한 대응 대신 대통령이 나서 강도 높은 대책을 가장 신속히 취하는 게 해법이라는 얘기다.

  최상연 기자

[J-HOT]

▶ MB '정책분신' 박재완 '붙잡아 놓은' 90분간 휴대폰 쉬지않고…

▶ 박경철씨 "현재 시장서 거의 발을 뺀 상태"

▶ 어린 딸 피멍들게 때린 담임 "절 때리시든지요"

▶ 잘록허리, 가슴 큰 여친 원한다면 '이 것' 선물해라

▶ 신격호 회장 셋째 부인, 롯데쇼핑 주주에

▶ 70대와 관계 맺다 걸린 암소 바다에 수장시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