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리듬깨져 질병악화” 교대근무자에 産災인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장기간의 교대근무로 인한 신체리듬 파괴가 질병의 원인이 됐다면 이를 업무상재해로 보아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법 특별9부(재판장 李康國부장판사)는 10일 26년동안3교대 근무를 해오던중 뇌경색증에 걸린 金모(경기도안산시선부동)씨가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요양불승인처분 취소청구소송에서이같이 밝히고 원고승소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金씨가 장기간 교대근무로 정상적인 신체리듬을 유지하기 어려웠던 점이 인정되며 이로 인한 육체적 피로가 가중돼 질병의 원인이 된 만큼 업무상 재해로 봐야 한다』고밝혔다. 재판부는 『비록 근무시간이나 업무 자체의 강도가 과중하지 않았더라도 신체리듬 파괴가 뇌경색증을 급속히 악화시킬 수있는 만큼 업무상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덧붙였다.金씨는 지난해 10월 진로발효㈜의 폐수처리실에서 26년동안 3일 단위로 근무시간대가 바뀌는 3교대 근무를 해오던중 뇌경색증을 일으켜 근로복지공단에 요양승인신청을 했으나 기각당하자 소송을 냈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