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칼럼>정확한 뉴스 초점은 신문의 생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뉴스의 초점을 제대로 맞추느냐의 여부는 어떤 의미에서든 신문의 생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런데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쉬운 것 같으면서도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니다.초점이 선명하게 드러날 경우엔 그렇지 않지만 대개의 경우 주변 정 황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초점이 흐려지는 수가 많기 때문이다.그럴 땐 차분하게 뉴스의 주변을 살피면서 초점을 찾는게 첩경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안목(眼目)으로 볼 때 지난주 서울시내버스의 적자(赤字)조작사건을 다룬 중앙일보의 보도는 단연 돋보였다고 할 수 있다.다각적인 분석으로 초점을 제대로 맞췄다고 평가받을만 하기 때문이다.다만 주마가편(走馬加鞭)식으로 한마디 덧 붙인다면 조순(趙淳)서울시장의 이 사건에 대한 자세를 사과성명 하나로,그것도 조그맣게 편집처리했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趙시장의 사과성명은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조그맣게 처리해도 무방하다고 여겼을 수도 있다.그러나 그가 이와 관련, 「특단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부분은 「특단」이라는 용어에 현혹됨이 없이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강구할 것인지 철저하게 파고들었어야 했을 것이다.뿐만 아니라 이 사건을 에워싼 趙시장의 움직임도 보다 자세하게 보도했어야 하지 않았 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신문에 오래 종사하다 보면 누구나 겪는 일이지만 어떤 사건이터지면 관계당국이나 관련 공무원은 그것을 축소하려 안간힘을 다하고 그에 따라 직.간접으로 신문이 영향받는게 사실이다.이런 영향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신문의 우열,다 시 말해 독자의 선호도에서의 우열이 판가름 나는 법이다.
이와 정반대의 경우는 관계당국의 이른바 관급성(官給性)기사를보도하는데서 벌어진다.보도자료라는 이름으로 배포되는 기사를 그대로 베끼는 일은 절대로 삼가야 할 일이다.보도자료의 경우 반드시 그 배경과 주변을 보충취재해야 함은 취재의 상식이기도 하다.뿐만 아니라 관급성 기사일수록 관계당국은 크게 기사화해주기를 희망하게 마련인데,이에는 무엇보다 편집자의 판단과 대처가 중요하다.
공교롭게도 지난주에 보도된 「서울시민의 날」행사 관련기사는 관급성 기사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 느낌이었다.물론 행사기사기때문에 이야깃거리 중심으로 사진과 곁들여 보도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는지 모른다.하지만 그런 기사일수록 그 행사에 소요된 비용과 그 조달경로를 밝히고 효과분석까지 하는게 옳지 않나 싶다.구태의연한 서울시정(市政),특히 전시행정으로 이미지 메이킹에 기우는듯한 일들을 바로 잡는 것이야 말로 신문의 몫이 아니겠는가. 지난주의 중앙일보에서 특히 아쉬웠던 것은 백두산 천지(天池)의 「괴물」과 관련된 기사가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백두산은 우리 민족혼의 영원한 고향이다.그러므로 그와 관련된 기사는 그것이 무엇이든 독자의 관심거리라는 인식을 가볍게 해서는안될줄 믿는다.중국 훈춘TV가 지난 7월 찍었다는 백두산 천지의 「괴물」은 비록 그 사진의 상태가 TV화면을 복사한 것이라할지라도 이야깃거리가 되기에 충분할 뿐더러 천지에 서식하는 「괴물」이 7마리란 숫자는 처음 알려진 것 이라는 점에서도 주목했어야 하리라고 본다.
사진을 곁들인 기사와 관련해 한가지 짚고 넘어갈 것은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이 해양수산계 지도자들을 청와대로 초청,오찬을 함께 하기에 앞서 『새롭게 제작된 21세기 선진 해양구성지도를관심있게 보고 있다』는 기사다.이 기사만 읽고서 는 관심있게 보고 있는 새로운 지도(地圖)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없게 돼있다.사진에 나타난 희미한 지도를 보는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사진처리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독자의 관심이 새로운 지도에 쏠리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고 그러 한 궁금증을 제대로 풀어주는 것이 신문이 해야 할 일이라고 믿는다.
사실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세계지도는 우리가 만든 것이 아니고 구미(歐美)에서 만들어진 것을 빌려쓰고 있을 따름이다.어떤 지도를 보고 생각하느냐 하는 것은 우리의 세계를 보는 관(觀)을 지배하게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뜻에서도 새로운 지도와 그와 관련된 기사는 심층취재해 보도하는게 옳지 않을까 싶다.
***사진처리 보다 신중히 신문사진과 관련,한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사진의 비주얼효과를 생각하는 편집 못지않게 인물사진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는 점이다.지난주의 중앙일보는 이른바 인사기사에서 사진없이 기사만 게재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아예 어떤 인사의 경 우 그 중요도에 비춰 반드시 보도해야 했을 터인데도 누락하고 말았다.
전자의 경우로는 서울시교육위의 새의장에 선출된 나영수(羅泳洙)씨의 사진이 빠진 것이고,후자의 경우로는 기독교 대한감리회 새 감독회장에 김홍도(金弘燾)목사가 선출됐다는 기사가 빠진 것을 들 수 있다.비록 1단짜리 기사에 불과할지라도 인물 관련 정보는 소홀히 하거나 빠뜨리는 일이 절대로 없어야 할 것이다.
(본사 고문) 이규행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