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파병 반대" 5060 "파병 찬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세대에 관계없이 '빈부갈등'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지역갈등이나 이념갈등보다 더 심각한 게 빈부격차에 따른 계층 간 갈등이라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성장과 분배, 노사 문제, 이라크 파병 등 각종 정치.경제.사회 이슈별로 들어가면 20대와 30대 간, 또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 간 인식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를 한 현대경제연구원 측은 "빈부.세대.지역 등의 '차이'가 유발하는 갈등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정치적 혼돈, 사회적 분열을 초래하고 경제적으로는 성장 잠재력을 깎아먹을 수 있다"며 "통합과 상생의 정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보수냐 진보냐=정치사회적 성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가운데 41.8%가 "나는 보수주의자"라고 말했다. 진보주의자라고 응답한 사람은 30.3%, 중도주의자라고 응답한 비율은 27.9%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보수 비율이 높아졌다.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이라크 파병에 대해서는 찬성(46.6%)보다 반대(53.4%)가 약간 더 많았다. 하지만 이 문제도 세대간 의견 차이가 컸다. 40세 이하는 '반대'비율이 60%를 넘었으나, 50세 이상에선 '찬성'비율이 60%를 넘었다.

대북관계에 대해서는 '상호이익이 되는 범위에서만 경제협력을 실시해야 한다'(65.6%)는 응답이 많았다. 경제논리를 따져 실리적으로 접근하자는 것이다. '북한의 경제 활성화가 궁극적으로는 우리에게 도움이 되므로 경협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은 34.4%에 그쳤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세대 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현대경제연구원 유병규 경제본부장은 "최근 경제 상황이 어렵게 되자 대북경협도 통일이나 안보여건 개선 등의 이념적인 접근보다는 경제논리를 더 중시해야 한다는 쪽으로 흐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보안법 문제에선 '개정(52.3%), 폐지(21.1%)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73.4%를 차지했다. '존속'의견은 26.6%에 그쳤다.

◆성장이냐, 분배냐=전체적으로 '성장이 분배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6대4 비율로 많았다. 근로의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이 남아 있더라도 퇴근시간이 되면 퇴근하겠다'는 사람은 12.8%에 불과했고, 87.2%는 '일을 마치고 늦게 퇴근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사갈등 문제에선 '사용자 측의 책임'을 지적한 응답(58.6%)이 '노동자 측의 책임'을 꼽은 응답(41.4%)보다 많았다. 세대별로는 40세 이하에선 사측의 책임을 묻는 비율(71.2%)이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5060세대는 노동자 측의 책임이 더 크다고 답했다.

◆인터넷 격차는 심각=우리 국민은 정보를 TV 등 방송(47.8%), 신문 및 잡지(30.4%), 인터넷(21.7%) 등에서 주로 얻고 있다. 여기에서도 세대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는 비율을 보면 2030세대는 37.6%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40대, 5060세대로 갈수록 그 비율이 떨어졌다. 5060세대는 10명 중 6명이 인터넷을 전혀 쓰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우리 사회에서 세대갈등이 어느 정도 심각한가'를 묻는 질문에 83.1%가 심각하다는 인식이다. 다만 심각성에 대한 정도는 세대 간에 차이가 났다. '매우 심각하다'는 의견이 2030세대는 22.6%인 반면 40대는 40.0%, 5060세대는 50.0%로 나타났다. 연령이 올라갈수록 세대갈등에 대해 심각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세대갈등의 원인에 대해서는 '자라온 환경과 경험이 다른 점'(29.2%)과 '언론 및 정치권이 부추긴 측면'(29.1%)을 주로 꼽았다.

갈등해소 방안으로는 '세대 간 차이를 인정하고 상호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정치권이 갈등을 부추기지 말고 통합 노력을 해야 한다''우선 가정에서 세대 간 이해 노력을 해야 한다'였다. '세대 간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느 집단이 가장 큰 역할을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언론(43.7%)과 정치권(3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김시래.강병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