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10년內 소득 2倍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인도가 10년안에 소득을 갑절로 불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인도의 데베 고다총리는 10일 취임 1백일을맞아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과 가진 회견에서 『지속적인 경제자유화 정책을 통해 오는 2006년까지 10년 간 연평균 실질성장률을 7~8%대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인도가 고속성장을 위해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 것은 자본이다.이를 위해 인도정부는 10일 뉴델리에서 국제투자유치회의를 열고 외자유치를 위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치담바람 재무장관은 11일 『인도에서는 매일 경제자유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인도시장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무역개방.규제철폐를 확대하는등 더 많은 개혁조치가 예정돼 있다』고강조했다.라미아 상무장관도 10일 『외국제품을 살 능력있는 인도의 중산층은 2억명이 넘는다』며 『외국투자가들은 많은 기회를가지고 있고 인도의 경제개혁은 뒤집을 수 없는 대세』라고 밝혔다.고다총리는 지속적인 경제개혁으로 지난해 18억달러에 그쳤던외자 직접투자액을 향후 연간 1 백억달러로 끌어올릴 생각이다.
외국투자가들이 인도 투자를 꺼리는 가장 큰 요인중 하나가 사회간접자본의 불비(不備)다.
이와관련,고다총리는 인도정부가 우선 5백억루피(약1조7천5백억원)를 출자,「인프라 스트럭처 개발 금융회사」를 설립해 전력.공항.고속도로등의 적극적인 정비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외자등을 주택.관광.하이테크및 소프트웨어산업등에 주력 투입,향후 10년간 7%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함으로써 2006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현재의 두배인 6백달러정도로끌어올릴 계획이다.
그러나 현재 인도경제가 안고 있는 가장 큰 현안은 인플레이션이다.지난해 후반부터 도매물가는 5%선을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다시 6~7%대 이상으로 치솟는등 아직도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있다.또 소득격차 확대에 따른 빈곤층의 불만과 『자유화는 빈부격차를 조장한다』는 고다정권 내부의 일부 비판론도 향후 경제개혁에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유권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