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의원 선거비 폭로 一波萬波-政街 돌풍 不正선거 시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부정선거 시비가 다시 정치권에서 뜨거워지고 있다.국회 부정선거특위 활동이 유야무야 끝나 버린 뒤 뒤늦게 정치쟁점으로 부상했다. 사단(事端)은 신한국당 이명박(李明博)의원의 선거운동원이 10일 李의원의 선거운동비를 폭로하면서 벌어졌다.요란한 입씨름만으로 부정선거를 규탄해 온 야당측은 호재를 만나 전면적인부정선거 공세에 나섰다.
신한국당은 11일 고위당직자회의에서도 강삼재(姜三載)총장의 보고로 이 문제를 거론했으나 李의원이 적극 해명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姜총장은 『현재로서는 李의원이 부인해 검찰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당차원의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익명의 고위당직자는 『1회성 사안은 아닌 것 같다』며단순한 정치공방으로 끝낼 수 없는 「중대사안」임을 인정했다.『주장이 엇갈리고 있지만 폭로내용이 너무 구체적이지 않느냐』는 것이다. 이 당직자는 『검찰수사를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다』며『사실로 드러날 경우 의법(依法)처리가 불가피하지 않겠느냐』고말했다. 국민회의측은 잔뜩 기대에 부풀어 있다.11일 지도위원회의에서는 이 사건을 계기로 부정선거규탄집회를 열기로 하는 등전면적인 공세에 나서기로 했다.
당부정선거대책위원장이자 李의원에게 떨어진 이종찬(李鍾贊)부총재는 『이번 폭로를 계기로 제보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며 『이번 사건은 단순히 종로선거구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난 총선에서 여당후보들이 저지른 전반적인 금권선거의 둑 한 귀 퉁이가 무너진데 불과하다』고 주장했다.지도위도 성명을 통해 『이번 폭로로지난 4.11총선이 총체적 부정선거였음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국회차원의 특위활동은 끝났지만 전국적인 문제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계산이다.
특히 국민회의측은 검찰수사와 선거관리위원회 실사(實査)의 불공정성이 확인됐다며 압박을 가하고 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