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총임금 동결 의미-경제상황 심각 공감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30대그룹 기조실장들의 「내년도 임금총액 올 수준 동결」추진은 재계가 현재의 경제상황을 매우 심각한 국면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위기의 원인은 고임금.고금리.고지가등 고비용 구조에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심각한 것이 임 금문제라고 재계는 보고 있다.
이는 이날 회의가 끝난뒤 전대주(田大洲)전경련 전무가 『국내임금이 선진국보다 높은 상황이며 임금상승률은 매년 평균 15%에 이르는 상황』이라고 말한 데서도 알 수 있다.田전무는 특히『이런 상태로 가면 경제기반 자체의 위기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재계의 입장은 정식 결의사항은 아니며 법적 구속력도 물론 없다.전경련도 『임금 동결문제는 어디까지나 기업의 자율결정 사항』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 기조실장들이 동결 필요성에 대체적으로 공감한데다,기업별 대책을 마련한뒤 전경련에 제출키로 해 채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코오롱이 이미 내년도 총임금을 올 수준으로 동결키로 한데 이어 포항제철도 임원급의 내년도 임금 동결방침을 밝혔다.또 대기업들이 이같은 논의는 대기업보다 인건비 지불능력이 떨어지는 중견.중소기업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따라 내년에 샐러리맨중 상당수가 올해 수준의 임금에 만족해야 할 상황이 될지 모른다.문제는 봉급생활자들이 경쟁력 약화의 책임을 근로자들에게 집중시키는 것에 대해 얼마나 납득할지에있다. 재계는 이에대해 『기업의 생존을 위해선 근로자들도 협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동계는 그러나 재계의 이같은 움직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반발조짐을 보이고 있다.한국노총의 조한천(趙漢天)정책본부장은 11일 밤 『사용자측의 일방적인 임금문제 결정은 노동자측의호응을 얻지 못할 뿐더러 오히려 거센 반발과 저 항에 직면할 수도 있다』며 우려했다.趙본부장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노사 양측이 대화와 협력을 통해 임금을 결정하는게 오히려 바람직하고 설득력도 있다』고 말했다.
성태원.민병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