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고 싶다” 입버릇, 가족까지 익숙해지면 위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최근 나온 경찰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한 사람은 1만3407명이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1.5명(2006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OECD 평균인 11.2명과 비교할 때 두 배 가까운 수치다. 1995년부터 ‘자살예방 긴급전화(Hot-Line)’인 ‘생명의 전화’에서 상담원으로 봉사해 온 오승근 명지전문대(청소년교육복지) 교수는 “자살에 대한 오해가 상식처럼 퍼져 있다. 자살 예방 교육의 제도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죽겠단 말 자주 하는 것은 강한 자살 신호=오 교수는 “최근 연구자료에 따르면 75~80% 정도가 자살 전에 ‘죽음’을 직접적으로 거론한다”고 지적했다. ‘죽고 싶다고 말하는 사람은 절대 못 죽는다’는 것은 오해라는 것이다.

최씨의 사례도 마찬가지다. 그는 지인들에게 “죽고 싶다”는 말을 여러 차례 했다. 오 교수는 “죽고 싶다는 말에 주변 사람들이 익숙해질 때가 가장 위험한 순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핫라인으로 전화를 거는 대부분의 사람이 ‘죽고 싶어요’라는 말로 얘기를 시작한다”고 말했다.

‘죽음을 암시하는 신호’는 복합적이다. <그림 참조>

‘죽겠다’는 표현뿐 아니라 자기 능력에 대한 회의감도 드러난다. 음주량이 늘고 불면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따라서 신경안정제를 복용하는 기간이 늘어난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위험도가 낮은 ‘간접적 징후’다.

오 교수는 “오랫동안 상담을 하면서 자살 의지를 굳힌 사람일수록 더 직접적 표현을 한다는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최씨의 경우도 그렇다. “납골당이 아니라 산에 뿌려 달라” “마지막 전화다”라는 말을 남겼다.

자살자는 아끼던 물건을 친구에게 주거나, 가족 걱정을 하기 시작한다. 최씨는 “우리 아이들을 잘 부탁한다”는 말을 코디네이터에게 남겼다. 죽음을 암시하는 메모도 발견됐다. 화장실 등 폐쇄된 공간에 혼자 있는 것도 위험한 신호다. 불안정한 감정의 강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호응하며 대화하라=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가정폭력, 경제적 파산, 배우자의 외도 등 ‘위험 상황’에 직면해 있다. 오 교수는 “일단 모든 걸 쏟아놓게 하라”고 조언했다. ‘왜 죽고 싶은지’에 대한 이유를 꼬치꼬치 캐물으라는 것이다. 말을 할 때는 ‘아, 그렇구나’ ‘그래서?’ 등의 말을 통해 호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좋다. ‘상대가 궁금해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도록 하는 게 대화의 기본 자세다.

자살 위험을 감지한 주변 사람의 경우 전문가 등 제3의 조언자를 찾는 것도 효과적이다. 상담사나 전문의의 조언이 효과적일 때가 많다. 이는 ‘제3자의 객관적 진단’이라는 것을 자살하려는 사람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과의 불화가 이유일 경우 친지의 조언은 역효과를 낼 수 있다.

‘도움을 줄 수 있는 모임’과 연결시켜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오 교수는 얼마 전 장애를 가진 여성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남편이 다른 여자를 사귀면서 본국으로 돌아가 버린 것이다. 큰 상처를 받은 데다 앞으로 살아갈 길이 막막했던 장애 여성은 죽음을 택하려 했다. 오 교수는 비슷한 문제를 같이 고민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여성에게 소개했다. 누굴 찾아가야 할지도 구체적으로 말해줬다. 장애 여성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죽겠다”고 시작된 전화는 “털어놓고 나니 좀 낫다”는 말로 끝났다.

◆자살예방교육도 성교육처럼 제도화=최진실씨의 사망 이후 ‘모방 자살’이 나타나고 있다. 3일 0시30분쯤 전남 해남군의 한 아파트에서 주부 박모(55)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날 오전 6시쯤 강원도 강릉의 다세대 주택에 사는 이모(30)씨도 같은 방식으로 자살했다. 오 교수는 “유명인의 자살은 모방행위를 유발하며 간혹 죽음을 미화시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역으로 보면 유명인의 ‘자살 예방 캠페인’도 같은 높은 효과가 있으므로 그들이 많이 나서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또 ‘자살 교육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청소년·군인·재소자나 유흥업소 종사자들은 자살 위험이 높은 유형이다. 그는 “지금까지 정부는 이들을 상대로 성교육 등을 통해 관리를 해 왔지만 자살은 그러지 못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강인식·장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