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현금서비스 한도 없앴지만 돈쓰긴 더 어려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한도(월 50만원)가 1일부터 폐지됐지만카드소지자들이 현금서비스를 이용하기는 오히려 종전보다 빡빡해지게 됐다.
물론 신용도가 좋은 일부 고객은 한도가 종전보다 늘어나겠지만이보다 더 많은 고객들은 되레 한도가 줄어들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재정경제원은 최근 1일부터 개인별 현금서비스 한도를 폐지한다고 발표하면서 동시에 카드사들에 「총 매출액중 현금서비스 비중이 50%를 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요청해 왔다. 재경원은 아울러 현금서비스 비중을 계산할 때 총 매출액에는 법인카드 이용실적을 포함시키지 않겠다는 방침도 함께 전달했다. 이는 카드사들이 이자가 높은 현금서비스 실적을 늘리기 위해 법인카드를 이용,편법으로 매출액 규모를 늘리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한 재경원 관계자는 『현금서비스를 대폭 늘릴 경우과소비를 부추기고 통화관리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런 제도적 장치가 불가피하다』며 「행정지도」의 배경을 설명했다.
총 매출에서 법인카드를 제외할 경우 카드사들의 현금서비스 비중은 평균 53%로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웃돌게 돼 이를 지키기위해서는 현금서비스를 줄여야 한다.회사별로는▶외환비자.비씨.국민카드등이 50~53%▶신한비자.삼성.LG카드등 은 57~58%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카드사들은▶신용이 좋은 고객은 한도를 조금만 늘려주고▶신용도가 낮은 고객의 한도는 상대적으로 많이 낮추는 방법으로 전체 현금서비스 규모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카드사의 한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현금서비스를 짜게 주는 쪽으로 고객별 한도를 조정중』이라며 『종전보다 한도가 줄어든 고객들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현금서비스에 대한 이자는 카드사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상 기간별로 1.5% 안팎에서 2.7% 안팎으로 일반 대출에비해 훨씬 높다.때문에 카드사들은 위험 부담을 무릅쓰고 실적을늘리려고 한다.
한편 재경원은 매출액 대비 연체액 비중을 현재의 1.8%에서내년 6월까지 1.5%로 낮추라고 카드사들에 통보하는 한편 이를 지키지 못하면 카드발급 중단등의 강력한 제재를 취하기로 했다.
고현곤.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