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재일동포단체 진단-흔들리는 조총련 활발해진 민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일본속의 「남.북」인 민단과 조총련.최근 북.일수교가 가시권에 접어들면서 두 단체가 술렁거리고 있다.특히 조총련은 수교에따른 일본내 재산권 행사 문제 등으로 일대 지각변동을 겪을 전망이다.반면 민단은 수교를 「세(勢)불리기」의 호기로 보고 조직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현재 재일동포의 참정권 획득 여부를 놓고 민단과 조총련이 찬반(贊反) 맞대결을 벌이고 있는 것도 북.일수교 후의 주도권 장악을 위한 힘겨루기 성격이 짙다. [편집자註] 민단과 조총련의 구성원수는 지난 65년 한.일국교정상화를 계기로 역전됐다.65년 당시 24만명(민단).34만명(조총련)이던 것이 70년에는 33만여명(민단).28만여명(조총련)으로 바뀌었다.

<그림 참조> 현재 민단계는 45만명,조총련계는 18만명 가량으로 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다가오는 북.일수교로 조총련은 다시 조직 전체가 격렬한 진통에 빠질 공산이 크다.
일본내에 「두개의 한국」이 공식화됨으로써 조총련은 ▶조직원이한국.북한중 한쪽을 국적으로 선택하면서 이탈자가 늘어날 수 있고 ▶일본내 재산에 대한 권리행사 문제로 북한과의 갈등 소지가다분하며 ▶새로 들어설 「주일 북한대사관」과의 관계를 정립해야하므로 벌써부터 고심하고 있다.
◇부쩍 활발해진 민단=일본사회와의 「공존공영(共存共榮)」을 기조로 하고 있는 민단은 최근 들어 재일동포 참정권 획득과 지방공무원 채용때 국적차별조항 철폐운동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금납부 등 제반의무를 이행하고 있는 만큼 선거권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는 참정권운동은 지난달말 현재 일본 전국 3천3백2곳의 지방의회중 36.6%인 1천2백10곳의 찬성을 얻고 있다. 민단은 이와함께 창단 50주년을 맞는 오는 10월까지 계속될 「조직활성화 1백20일운동」 기간중 ▶조총련계 동포 집 방문▶8.15행사 공동주최▶민단.조총련 대표단의 평양.서울 상호방문 제의 등 「조총련 동포 따뜻이 맞이하기」 사업 을 벌일 계획이다.
◇집 단속 한창인 조총련=내부결속을 꾀하고 민단을 견제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전국의 지부조직과 홍보매체를 동원해 「참정권 반대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다.
수교를 앞둔 조총련의 갈등요인은 주로 재산권과 국적선택 문제. 조총련 구성원을 「해외공민」으로 규정하고 있는 북한이 일본과의 수교후 조총련계 동포들에게 재산처분을 요구하지 않을까 불안해 하는 이들이 많다.
이 때문에 조총련은 조직원 이탈을 막기 위해 북한에 『수교가돼도 재일동포에 대해서는 사유재산을 인정해 달라』고 요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연히 조총련의 막대한 재산도 초점이다.조총련과 산하단체.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재산(토지.건물분)은 약 5천2백억엔(약 3조9천억원)규모다.
조총련계 은행인 조은(朝銀)신용조합의 총자산(올해 3월현재)도 2조5천7백17억엔(약 19조2천억원)이나 된다.
조총련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일부 동포들은 아예 남편은 「조선」,부인은 「한국」으로 국적을 나눠 수교후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노재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