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가운양에게 듣는 청심국제중 합격 비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청심중학교에 합격한 심가운(13)양은 개학 후 시험을 보기 전까지 평소의 컨디션을 유지하고 공부의 흐름을 깨뜨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귀띔했다.

심양의 어머니 박영(42·용인시)씨도 같은 의견이었다. “사실 이맘때는 1차 합격을 전제로 2차 캠프 준비를 하죠. 가운이는 특별전형이었기 때문에 영어 토론에 신경을 많이 썼어요. 일반전형을 택한 학생들은 수학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아요.” 박씨는 전형에 따라 공부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영어토론을 잘 하기 위해서는 책이나 신문을 통해 배경지식을 풍부하게 해야 한다. 박씨는 ‘방학 이후에는 면접에 대비해 배경지식을 넓히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신문을 잘 활용하면 짧은 시간 동안 유용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편이 돼 함께 토론해 보는 것도 좋다. 서로 다른 입장의 근거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학은 창의사고력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한다. 시험에 나오는 수학 문제는 누가 실수를 적게 하느냐가 관건이다. 문제 하나를 풀기 위해 오랜 시간을 투자하는 것보다 여러 유형의 문제를 많이 풀어 보는 것이 시험 당일 어려운 문제가 나와서 당황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사회와 과학은 5·6학년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정독하고 경제나 사회과학 관련 책을 많이 읽으면 된다. 박씨는 어린이들이 보는 경제책이나 어린이 헌법 책 등을 많이 사주었다.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는 “아이가 TV나 책을 보면서 모르는 용어를 물으면 그때그때 이해할 수 있게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시기인 만큼 마인트 컨트롤도 중요하다. 심양은 같이 시험을 준비하는 친구들과 수다를 떨면서 스트레스를 풀었다. 박씨는 ‘떨어져도 괜찮다’ ‘최선을 다해라’는 위로와 격려를 통해 아이들의 불안을 덜어주었다. 그는 “온 식구가 함께 독서를 한다든지, 아이가 집에 있을 때는 TV를 보지 않는다든지, 가장 좋은 방을 서재로 꾸며준다든지 하는 배려를 통해 공부하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도 심리적 안정을 주는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틈틈이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고, 아침밥은 항상 챙겨먹어야 시험 날까지 체력을 유지할 수 있다.

효과적인 계획세우기 3단계

1.시간일기 쓰기

시간일기는 시간대별로 자신이 한 행동을 있는 그대로 적는 것이다.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철저한 계획세우기가 가능해진다.

먼저,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매일의 ‘가용 시간’을 체크해 본다. ‘전체 시간-고정 시간=가용 시간’으로 이해하면 쉽다.(‘고정 시간’은 학교·학원·식사·수면 등에 사용하는 시간)

표를 활용해서 자신이 계산한 가용 시간과 공부 목표 시간을 적어보면 시간 활용의 가능 범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공부 목표시간을 무리하게 적기보다 실현 가능한 정도로 시작해서 점점 늘려가는 것이 좋다.

2.습관 들이기

해야 하는 것을 잘 알면서도 못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소가 나쁜 습관과 유혹거리다. 먼저 유혹거리 마인드맵을 그린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항목을 그린 뒤 각각의 대책을 명확하고 측정 가능하게 수립한다.

보통 ‘3·7·21 습관프로젝트’로 실천을 시작한다. ‘일찍 일어나기’가 목표라면 습관 목표 1번으로는 ‘자기 전에 컴퓨터 하지 않기’, 2번은 ‘아침 00시에 일어나기’ 식으로 종이에 적어 집안에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붙여둔다. 성공도에 따라 O, △, X로 매일 체크해간다. 중요한 것은 공개된 장소에 붙여두고, 매일매일 체크하며 확인하는 것이다.

3.주간 플래닝

플래닝은 계획뿐 아니라 ‘목표-전략-시간관리-실행-피드백’의 전 과정을 뜻한다. 매주 시간을 정해놓고, 지난주 계획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지키지 못한 점은 왜 지키지 못했는지 자세히 분석해 본다.

실패가 반복되는 이유는 십중팔구 실패이유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지키지 못할 계획을 세우고, 후회하고 또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주간 플래닝에서 중요한 것은 완벽하게 계획을 수립하고, 완벽하게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을 하면서 조금씩 성장해가는 것이다. 자료제공= TMD 교육 그룹

프리미엄 송보명 기자
사진= 프리미엄 최명헌 기자 choi31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