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추억] 현대 경제이론 국내 첫 소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13일 별세한 이정환 금호석유화학 명예회장은 한국 경제학계의 프론티어로 손꼽힌다. 일본 도쿄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고인은 1952년 연세대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폴 새뮤얼슨의 현대 경제이론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했다. 55년 펴낸 경제원론 책은 아담 스미스 등의 근대 경제이론에 치중한 다른 경제학 서적들과는 달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연세대 학생 시절 그의 수업을 들은 송자 전 연세대 총장은 “강의실이 꽉 찰 정도로 인기가 최고였다”라고 술회했다. 황일청 전 한양대 학장(76), 조익순 고려대 명예교수(84) 등도 그의 제자다.

뛰어난 경제학자로 명성이 높아지자 박정희 정부가 그를 끌어당겼다. 61년 재무부 장관 고문으로 관직에 첫발을 디딘 뒤 농협중앙회 회장, 한국은행 총재, 재무부 장관, 산업은행 총재 등을 차례로 지냈다.

그가 한은 총재이던 시절 행원이었던 김명호 전 한은 총재는 “재무부 장관과 3대 국책은행장을 한꺼번에 지낸 사람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만큼 능력이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회상했다. 김 전 총재는 “시국관이 공정한 데다 인품이 아주 훌륭했던 분”이라며 “뒷날 내가 한은 임원이 되면서부터 자문을 많이 청했다”라고 덧붙였다.

공직을 떠난 뒤 그는 사돈인 고 박인천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자의 회사에 몸담았다. 둘째 딸(경렬씨)이 박 창업자의 3남인 박삼구 회장의 부인이다. 그는 생전에 “산업은행 총재로 있을 당시 박인천 회장이 찾아와 사돈을 맺자고 요청했다”라고 밝힌 바 있다. “호남 출신인 박 회장이 지방색을 초월하기 위해서라도 영남 출신인 자신과 사돈을 맺어야 한다고 말했다”며 “그의 진실성에 동감해 사돈을 맺게 됐다”라고 말했다.

현 금호석유화학의 전신인 한국합성고무의 사장으로 취임한 뒤 92년 명예회장으로 퇴임하기까지 18년간 최고경영자(CEO)로 있으면서 세계적인 합성고무업체로 성장할 기반을 닦았다.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회장을 무려 12년 동안 지내며 유화산업을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김영욱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