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유한열 사건 은폐·축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민주당은 11일 유한열 한나라당 상임고문의 군납비리 의혹 사건을 조목조목 파고들었다.

우선 지난 1월 유 상임고문을 만났던 맹형규 청와대 정무수석이 왜 지난 8일에야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느냐는 문제다. 이때는 이미 주간지 ‘시사저널’이 첩보를 토대로 확인 취재를 시작한 뒤이기 때문이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지금까지 잠복해 있다가 더 이상 감출 수 없어 터져 나온 사건”이라며 “3월에 관계자들이 뇌물을 돌려달라고 팩스까지 보냈다는데 4~5개월이나 방치했다가 검찰이 (유 고문을) 긴급체포한다니까 수사를 의뢰했다”고 비판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언론사가 취재를 시작하자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며 “특검 도입은 물론, 국정조사까지 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여권 내에서 사건을 처음 인지한 시점과 본격 수사에 착수한 시점 간에 시간 차가 있는 만큼 이 기간 동안에 은폐·축소했을 수 있다는 게 민주당의 시각이다.

또 민주당은 이날 대변인 명의로 낸 자료에서 사건의 연루자인 이승준씨가 부총재로 있는 ‘아시아·태평양 환경NGO 한국본부’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0년 2월 이 단체의 2대 총재를 지냈고, 지난 7월엔 김윤옥 여사 큰언니의 아들인 김봉조씨가 4대 총재로 취임했다는 점에서다.

민주당은 유 상임고문의 부탁을 받은 뒤 국방부 차관에게 전화를 건 것으로 알려진 한나라당 공성진 최고위원의 역할에도 주목하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는 이날 “여권의 자정(自淨) 기능이 작동한 사건”이라며 “ 문제는 자정 의지”라고 주장했다.

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