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네트열린교실>2.세계화 교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인터네트는 저렴한 비용과 적은 노력으로 매우 효과적인 지구촌학습을 가능케 한다.인터네트를 통해 학생과 교사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다른 나라 학생.교사들과 정보나 의견을 교환하고 정해진 과제도 함께 해결할수 있기 때문이 다.
가상공간에 만들어지는 지구촌 교육현장에 뛰어들어보자.인터네트를 통해 국제적 협력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은 자신들이 다루는문제의 복잡성을 이해하게 되고 교사들은 좀더 나은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확보할수 있게 된다.
미국에서는 이미 7~8년전부터 인터네트를 통한 세계화 교육이시작돼 다양한 학습모형을 개발해왔다.
복수(複數)문화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고 상호의존적 세계를 직접 경험한다는 세계화 교육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가장 효과적으로평가되는 학습모형은 소규모 학습집단을 통한 교육이다.
이 소규모 학습집단은 여러 지역에 흩어져있는 8개 정도의 다른 소규모 학습집단들과 같은 교육목표를 공유하게 된다.이 학습집단에 속한 학생들은 대개 한 학기동안 수시로 전자우편을 통해의견이나 작업성과를 교환하고,상대 작업에 대해서 도 조언을 나누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이런 학습모형의 주안점은 서로 다른 지역.문화적 시각을 가진교사와 학생들이 소규모의 가상공동체를 통해 평소 자기와 무관하고 복잡하게만 느껴지던 국제적인 문제를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일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따 라서 이런 학습집단에서는 주로 사회문제나 국제문제를 다룬다.또 지역간의 역사.지리.환경에 대한 관심사를 비교하거나 지역적인 사건.기사.
견해 등을 서로 교환한다.
이 학습모형은 상당 기간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그러나 성공률이 매우 높은 편이므로 안심하고정규 교과과정에 도입할수 있다.특히 인터네트의 전자우편에 주로의존하므로 학교에 386컴퓨터.모뎀.일반전화선 정도만 갖춰도 일단 실행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학습집단 모형을 이용하려면 「AT&T 학습전산망」이나 「I*EARN」에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프로젝트를 위한 해외파트너를 찾기 쉽고,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직적인 지원도 받을수 있기 때문이다.
또 앞서 실시한 프로젝트의 경험들도 손쉽게 참조할수 있도록 잘 정리돼 있다.게다가 프로젝트 수행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비결을 담은 상세한 안내서도 이용할수 있다.
이런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특정 주제에 대해 교사 혼자서는 도저히 제공할수 없는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배우면서 지구촌을 「하나의 공동체」로 경험하게 된다.물론 특정한 목표를 위해 영어와 컴퓨터 네트워크를 직접 활용해볼 기회도 갖게 된다.그밖에다른나라 사람들과의 인간관계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고 외국 친구나 동료를 갖게되는 등의 부수적 효과도 크다.
사실 한국인이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는데 가장 큰 장애는 상호의존적이며 다양한 지구촌 문화에 대한 이해 결핍이다.교육과정을세계화.지구화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윤영민=경희대 정보사회硏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