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前 6人委서 군요직 인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전두환(全斗煥)전대통령등 신군부측 인사들은 12.12군사반란이전에 자체 인사기구인 「6인위원회」를 구성,군요직은 물론 물러나는 장군들의 후임자리에 대한 인선까지 마쳤던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서울지법 형사 합의30부(재판장 金榮一부장판사)심리로 열린 12.12및 5.18사건 2차 공판에서 검찰은 직접신문을 통해 全씨가 노태우(盧泰愚).유학성(兪學聖).황영시(黃永時).차규헌(車圭憲).김윤호(金潤鎬.광주보병학교장) 씨등으로6인위원회를 구성해 사전에 짜놓은 인사안을 토대로 13일 대대적 군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관계기사 3,4,5,8,22,23면> 검찰은 김윤호씨가 검찰조사에서 『79년12월13일오전10시 우국일(禹國一)보안사참모장이 신군부측 핵심 인사들에게 제시한 군 주요 보직 인사안이11월30일 6인위원회에서 논의한 그대로였다』고 진술했으며 핵심인사들도 이를 시인했다고 말했다.「6인위」는 실제 참모총장으로 이희성씨를 추천해 대통령이 임명토록 하는등 13일 단행된 군인사에서 합수부측 장성들을 수도권의 핵심 보직으로 모두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6인위 운영방식은 유학성씨가중심이 돼 초안을 만들되 의견차이가 생길 경우 全씨가 최종 지명해 결정하는 방식으로 유지됐다고 검찰은 밝혔다.
특히 全씨는 군사반란이 종료된 13일오전2시30분쯤 상황파악을 위해 보안사령관실로 온 이희성 중앙정보부장서리에게 육군참모총장 내정을 통보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이날 공판에선 전두환.유학성.황영시피고인등 3명에 대한검찰측 직접신문이 진행됐다.
全씨는 『정승화(鄭昇和)육참총장에 대해 10.26 직후부터 은밀히 내사를 해왔다』면서 『12.12는 군권찬탈 목적이 아닌鄭총장 연행과정에서 빚어진 우발적 충돌이었다』며 혐의사실 대부분을 강력하게 부인했다.다음 공판은 25일오전1 0시.
김우석.신동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