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 인권 보고관 신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유엔 인권위원회가 북한의 인권상황을 전담하는 유엔 특별보고관 직을 신설키로 15일 결의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60차 유엔인권위원회는 이날 53개 회원국의 투표에서 29개 회원국의 찬성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북한 인권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엔이 북한에 식량 배급 상황과 종교자유.고문에 대해 특별보고관을 둔 적은 있으나 북한 인권에 대한 특별보고관을 임명키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엔 특별보고관은 북한당국과 접촉한 뒤 내년 제네바 유엔 유럽본부에서 열리는 제61차 유엔인권위원회와 뉴욕본부에서 열리는 유엔 연차총회에서 북한 인권보고서를 제출하게 된다.

그러나 북한이 최근 장 지글러 대북 식량담당 특별보고관 등의 방북을 거부한 것을 감안해볼 때 인권 특별보고관이 실질적 활동을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번 결의안은 유럽연합(EU)과 미국.일본.호주 등 13개 위원국과 뉴질랜드 등 14개 옵서버 국가 등이 공동 발의했다. 53개 회원국 전원이 참가한 이날 표결에서 한국을 포함한 16개국은 기권했고 8개국은 결의안에 반대했다.

결의안 통과를 위해 비정부기구(NGO)와 함께 제네바에 온 경북대 허만호 교수는 "의욕적이고 소신있는 인물이 특별보고관으로 임명돼 북한 인권상황을 실질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 인권단체에 소속된 한 관계자는 "이 결의안이 북한을 더욱 자극할 소지가 있다"면서 "점진적 인권개선을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올해 결의안은 카드를 다 써버리는 우를 범한 것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제네바=박경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