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재산 얼마나 달라졌나-여야 정치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회 공직자윤리위가 공개한 국회의원 재산변동내역서를 들여다보면 엉성하고 의문스러운게 한 두가지가 아니다.일부 의원들은 재산누락및 은폐 의혹까지 노골적으로 풍기고 있다.
우선 재산변동의 대차대조표가 서로 맞지않는게 다반사다.
자민련 양순직(楊淳稙)의원은 서울동작구신대방동의 건물과 대지를 6억3천6백만원에,경기도군포시부곡동 대지를 5천2백만원에 각각 팔았다고 신고했다.
그러나 7억원이 넘는 매각대금의 사용처에 대해선 일절 언급이없다.신한국당 최돈웅(崔燉雄)의원도 마찬가지다.
그는 강원 원주.강릉.속초등 3개시에 있는 사무실과 대지등을7억6천만원에 팔아 마련한 돈 대부분을 건물신축.주식증자.생활비등에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작 주식증자와 예금등에 사용한 1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6억5천만원의 사용처에 대해선 설명이 없다.
신한국당 최영한(崔英漢)의원은 빌딩 매입에 8억2천만원 상당을 지출했다고 밝혔다.반면 재산증가란에는 매입빌딩이 빠져있다.
국민회의 김명규(金明圭)의원도 39억2천만원에 인천시남구주안동 땅을 팔았다고 신고했으나 이 돈이 어디로 갔는지는 재산신고내용 어디에도 없다.
뿐만 아니다.대부분 의원들은 돈의 출처를 명확히 밝히지않고 어물쩍 넘어갔다.국민회의 박정수(朴定洙)의원은 재산신고내역서에배우자 예금이 5천6백만원 늘었다고 했으나 돈의 출처는 설명이없다.신한국당 신상우(辛相佑)의원은 배우자와 차남등의 예금이 6천여만원 증가했으나 아예 변동사유를 공란으로 남겼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의원들의 면피성 신고가 총선을 대비한 자금 비축의도에서 비롯됐다는 해석이 무성하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