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치권 - 언론 ‘독도 궤변’ 총공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일본 정치권과 대부분 언론이 15일 전방위로 독도 공세에 나섰다. 보수 강경파들은 중학교 사회교과서 새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다케시마(竹島·독도)는 일본의 ‘고유한 영토’라는 표현이 빠졌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자민당 전 정조회장은 “한국에 양보하는 바람에 도무지 알 수 없는 표현이 돼 버렸다. 역사적으로 일본 영토가 분명한 상황이므로 ‘고유의 영토’라고 정확하게 써야 했다”며 일본 정부를 비난했다. ‘다케시마 영토권 확립 시마네(島根)현 의회 의원 연맹’의 호소다 시게오(細田重雄) 회장은 “북방영토와 마찬가지로 ‘고유의 영토’ ‘불법점령’이라는 문구를 넣어야 했다” 고 말했다.

일 언론들도 이날 일 정부 입장을 옹호하면서 한국이 냉정을 찾으라고 주문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다케시마 명기 오히려 늦었다’는 사설에서 “영토 문제와 교육은 주권과 관계된 문제”라며 “외교상의 배려와 주권국으로서 역사와 영토를 다음 세대에게 올바로 전하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 신문은 한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 “한국 정부가 일본에 강경대응하지 않으면 한국 국민이 납득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전개 방향은 전적으로 여론에 달렸다”고 전망했다. 마이니치(<6BCE>日)신문도 ‘영토 문제는 냉정함이 필요하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다케시마를 ‘고유의 영토’라고 하지 않고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고 한 것은 한국을 배려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아사히(朝日)신문은 “일본이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한 1905년은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아 합병의 길을 걷기 시작한 해였다. 독도는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의 상징이 됐다”며 한국의 민감한 입장을 전달했다.

이날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관방장관은 “양국 정상이 추진하고 있는 ‘일·한 신시대’를 위해 양국이 입장 차이를 차분하게 극복하고, 6자회담과 납치 문제 등 현안에 대해서도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박소영 특파원

[관련기사]

美 의회도서관 '독도' 주제어 폐기 검토 보류

독도 분류어 폐기 문제 처음 제기한 그녀는…

'독도' 폐기땐…자료 찾으려면 '일본해 섬들'서 검색해야

'독도는 조선땅' 1920년대 일본교과서 발견

'섬→암석' 분류 땐 우리 지배권마저…

ADVERTISEMENT
ADVERTISEMENT